▶ 주 보험국 16명 기소
▶ CHP 직원까지 연루돼
▶ 피해자 개인정보 유출
▶ “견인 후 거액 요구”

캘리포니아주 보험국이 전문적인 토잉 사기 조직을 적발했다며 이같은 사기 피해 주의령을 내렸다. 사진은 기사 내 특정 사실과 관계 없음. [로이터]
캘리포니아 주 보험국(CDI)이 남가주에서 확산하고 있는 ‘토잉 사기’에 대해 경고하고 나섰다. 교통사고에 현장에 나타나 합법적 서비스인 것처럼 속여 차량을 견인한 뒤 피해자에게 거액의 비용을 요구하거나, 가짜 보험사 직원 행세를 하며 차량을 가로채 볼모삼는 방식의 범죄다.
주 보험국은 지난 18일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남가주에서 이같은 ‘견인차 볼모 사기(vehicle hostage scam)’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운전자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보험국은 경찰과 보험국 수사팀이 최근 이러한 수법의 사기 용의자 16명을 찾아내 기소했다며, 이들은 조직적으로 공모해 총 21만6,932달러 이상을 부당하게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에 적발된 토잉 사기 조직의 주요 피의자는 사기 조직 총책인 안드레 안젤로 레예스(37세, 코로나 거주), CHP 직원이자 교통사고 피해자 정보를 유출한 로사 이셀라 산티스테반(56세, 어바인 거주), 가짜 보험사 직원 역할을 해온 에스메랄다 파르가(27세, 포모나 거주), 차량을 불법 보관한 정비소 소유주인 앤서니 고메스(36세, 후루파 밸리 거주) 등이다.
주 보험국에 따르면 특히 이같은 사기는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순찰대(CHP) 내부 관계자까지 연루된 대규모 조직 범죄로 드러났으며, CHP 직원이 교통사고 피해자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보고서를 불법 유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해당 조직이 전부 잡힌 것이 아니거나 이러한 사기를 벌이는 자들이 이들 뿐만이 아닌 것으로 보여 보험국이 경고하고 나선 것이다.
보험국은 해당 사기 수법에 대해 ▲사고 발생후 견인 요청을 하지 않았는데도 견인차가 갑자기 등장하거나 ▲견인차 운전자가 피해자에게 특정 정비소를 지정해 안내는 경우 ▲피해자에게 “보험사에서 연락이 갈 것”이라며 서명을 요구하고 ▲피해자가 차량을 되찾기 위해 거액의 현금 지급을 강요하며 ▲견인차 기사가 택시나 공유차량 서비스를 호출해 주겠다고 제안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고 전했다.
이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CHP 또는 보험사에 직접 연락 후 견인 요청 ▲견인차가 보험사나 경찰이 보낸 것인지 반드시 확인 ▲견인차 기사에게 제공받은 문서에 함부로 서명하지 않기 ▲보험사에 문의하여 공식 정비소에서 수리 진행 등을 조언했다.
리카르도 라라 주 보험국장은 “이같은 사기는 운전자들이 가장 취약한 순간을 노리는 악질적인 범죄”라며 “운전자들은 사고 발생 후 견인차의 신뢰성을 반드시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경우 즉시 신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험국은 의심스러운 견인차 운영업체를 발견한 경우 보험국 신고 전화(800-927-4357)로 즉시 연락할 것을 요청했다.
<
한형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