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국토부 “설계 때부터 콘크리트 둔덕…음성기록장치 자료 추출중”

2024-12-31 (화) 09:21:15
크게 작게

▶ “당시 최적 시공방식으로 만들었을 듯”…공항공사, 거리 두고 ‘권고 미흡’ 지적

▶ 엔진·랜딩기어 연관성 첫 인정… ‘케이블 분실’ 블랙박스 분석방안 검토

국토부 “설계 때부터 콘크리트 둔덕…음성기록장치 자료 추출중”

(무안=연합뉴스) 31일 오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 뒤로 노을이 지고 있다. 2024.12.31

국토교통부는 제주항공 참사 피해 규모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과 관련, 해당 시설은 처음부터 콘크리트 둔덕 형태로 설계됐다고 말했다.

또 엔진 고장이 랜딩기어 문제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과 달리 엔진이 모두 고장 날 경우 유압 계통을 통해 랜딩기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처음으로 밝혔다.

국토부는 31일 오후(이하 한국시간)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진행한 제주항공 참사 관련 브리핑에서 "(로컬라이저는) 최초 설계 때도 둔덕 형태 콘크리트 지지대가 들어간 형태"라며 "그 뒤 개량사업 진행하며 분리된 말뚝 형태에 두께 30㎝ 콘크리트 상반을 (추가로) 설치해 보강했다"고 말했다.


콘크리트 재료를 사용한 이유에 대해선 "방위각 시설 자체는 원래는 안테나로만 봐야 하고, 지지대는 전통적 의미에서 로컬라이저가 아니다"라며 "지지대를 설치할 때 비바람에 흔들리면 안 되니 고정하기 위해서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종단) 안전 구역 밖에 있으니 재료에 제한받지 않는다고 판단해 콘크리트 지지대를 받친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둔덕 형태로 지지대를 만든 이유와 관련해선 "과거 여러 공항을 보면 형태와 안의 재질이 다소 상이한데 최초 설계 당시 최적의 방법을 찾았던 시공 방식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했다.

둔덕이 2m가량 돌출된 것에 대해선 "활주로 높이 이상으로 시설이 올라와 있지 않으면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며 "전파 각도가 충분히 나오지 않아서 항상 안테나가 높게 세워져 있다"고 강조했다.

기울어진 지면과 수평을 맞추기 위해 돌출된 형태로 만들어졌다는 기존 해석과 일맥상통한다.

국토부는 "종단 안전 구역은 시행규칙에 따라 시설 성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둔덕 뒤 외벽이 충돌 규모를 키웠냐는 지적엔 사고원인에 대해 명확하게 조사하겠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한편 무안공항을 관할하는 한국공항공사는 지난해 6월 무안공항의 종단 안전 구역이 국토부의 권고 기준을 지키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착륙대 끝 부분부터 권고 기준은 240m인데 이번에 사고가 난 19 활주로는 199m로 41m가 부족하고, 역방향인 01 활주로는 202m로 38m가 짧다는 것이다.

다만 240m는 권고 사항이기에 당장 준수하지 않는다고 해서 제재가 가해지는 사항이 아니다.

무안공항은 공사의 지적에 "공항 2단계 확장 시 추가 확보를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이 공항은 내년까지 활주로를 2천800m에서 3천160m로 확장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

종단 안전 구역에 대한 권고 기준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경우도 240m이며, 미국 연방항공국(FAA)은 1천피트(약 305m)다.

국토부는 이번 브리핑에서 엔진 이상이 랜딩기어 미작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처음으로 인정했다.

국토부는 "2개 엔진이 모두 고장 나면 유압 계통에 이상이 생길 수 있어 랜딩기어 작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다만) 모든 게 다 고장 났을 때 수동으로 할 수 있는 레버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엔진이 고장 나고, 랜딩기어가 안 나왔다는 전제로 말하는 것"이라고 선을 긋고서 "조종석에서 어떻게 레버 작동이 안 했는지 등에 대한 상황은 추정할 수 있으나 정확히는 블랙박스 분석 통해 결론을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토부는 사고 당일 진행한 브리핑에서는 "엔진 고장과 랜딩기어 고장은 일반적으로 상호 연동되는 경우가 없다"고 설명하며 연관성을 부정한 바 있다.

이 밖에도 국토부는 이른바 블랙박스라고 불리는 비행자료기록장치(FDR)와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의 분석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외형이 일부 손상된 채 수거된 FDR은 "추가적 기술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비행 기록 장치 케이블 분실 때문에 안의 데이터를 어떻게 추출할 수 있을지 기술적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CVR과 관련해선 "자료 추출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FDR 커넥터를 입수해 국내에서 분석을 진행할지, 블랙박스 자체를 미국으로 보내 분석할지는 최소 수 일 내에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는 활주로 확장 공사에 따라 현재 로컬라이저가 치워진 01 활주로 대신 19 활주로로 착륙 지점이 변경된 이유에 대해선 "바람 방향에 따라 활주로 사용이 정해진다"면서 "편서풍 때 우세하니 특성상 북쪽을 보면서 착륙하는 게 맞을 거 같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