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가정폭력, 주위 도움 없이는 나아지지 않아

2024-05-25 (토) 유동숙 한미가정상담소 소장
작게 크게
가정폭력은 의외로 우리와 가까이 있는 사회문제이다. 가정폭력이 사회문제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1970년대에 여성의 권리보장과 권익보호 운동이 일어나면서, 이에 관련된 여성의 취업, 월급보장, 아이들 케어 문제, 가정폭력 등 가정안의 문제들이 미디어와 사회 운동가들을 통해 집 밖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가정폭력 사건을 보고하는 숫자가 늘기 시작했고, 학대/구타당한 아내라는 카테고리가 새롭게 나뉘어져 보고되기 시작했다.

가정폭력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관계상의 파트너가 상대를 힘으로 제압, 통제하려는 학대적 행위로 육체적, 성적, 정신적, 경제적 등 다방면에 걸쳐 상대를 위협하거나 학대하는 행위”이다.

가정폭력이 힘들고 복잡한 이유는 그 폭력이 서로 사랑하고 아껴주고 보호해주어야 하는 관계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가정폭력은 주위의 적절한 도움 없이는 나아지지 않는다. 그런데 가정폭력의 피해자는 외부의 도움받기를 꺼리거나 혹은 공포 안에 갇혀 도움 요청조차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폭력을 당하며 사는 배우자는 주위 사람들로부터 종종 왜 학대받고 사느냐고 비난받거나 자신이 그 폭력을 자처했다는 비논리적 자책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폭력적 관계를 폭로하고 떠나려는 순간, 수많은 질문을 자신에게 한다. 평생을 같이 하기로 한 배우자를 이렇게 떠나도 되는가? 다른 식구들 얼굴을 어떻게 볼까? 아이들에게는 뭐라고 이야기하나? 경제적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 다른 사람들이 나를 보는 시선은 어떨 것인가? 등등의 많은 걱정과 생각들을 하면서 괴로워한다.


가정폭력에는 사이클이 있다. 첫 단계는 관계 안의 ‘힘든 분위기 고조’이다. 충돌과 말싸움이 생기면서 서로를 비난하고 질책, 질투하면서 언어폭력으로까지 이어지면서 상대를 협박하고 물건을 파괴하기도 한다. 두 번째는 심각한 폭력, 상해를 가하는 단계다. 이 단계에서 일어나는 폭력은 피해자에게 잊을 수 없는 신체적 정신적 상처를 남긴다.

폭력을 가한 파트너는 “나는 그저 베개로 몇 번 때렸을 뿐이에요”라고 자신의 폭력을 최소화하려하고 피해자는 “작은 딱딱한 쿠션으로 내 머리를 집중적으로 여러 번 때려 잠시 정신을 잃었어요”라고 묘사한다. 폭력의 가해자와 피해 배우자 각각이 다른 입장을 취한다. 가해자는 상대를 비난하면서 “너 때문에” “네가 그래서”라고 하면서 폭력을 정당화하려하고, 피해자는 그것을 비이성적으로 내면화하면서 자신을 자책하기도 한다.

세 번째는 허니문 단계이다. 폭력으로 에너지가 발산된 후, 화가 수그러지기 시작하면서 가해 배우자가 자신이 한 폭행을 후회하면서 상대 배우자가 자신을 떠나면 어떻게 하나 하는 걱정을 하게 된다. 그러면서 피해자에게 정성을 다해 사랑해준다. 이때 피해자는 “그래 이 사람의 본 모습이 이거지. 내가 이래서 결혼했는데, 내가 더 노력하고 잘하자”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이렇게 폭력의 사이클은 이어지고 폭력의 종류도 다양해지면서 강도 또한 서서히 강해진다.

B씨는 결혼한 지 6개월 된 신혼여성이었다. 남편의 근무시간이 늘어나면서 같이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어 그 이야기를 하던 중 남편이 피곤한데 잔소리한다고 주먹으로 상을 쳤다고 했다. 그 순간 B씨는 알지 못했던 남편의 모습에 많이 놀랐다고 했다. B씨는 놀란 자신을 보며 이 관계 안에서 자신을 어떻게 보호해야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후 세월이 지나 B씨는 상담소를 다시 찾았고 그때는 많이 지쳐 보였다. B씨는 두 아이의 엄마가 되어 있었고, 많이 황폐해 있었다. B씨는 그동안 주기적으로 폭력이 있었고 점점 강도가 세지는 폭력으로 몸과 마음이 병들어있었다. 첫 미팅에 했던 가정폭력 피해자 치료/보호 프로그램에 대해 다시 설명했으나 B씨는 “이렇게까지 참아왔는데, 조금만 더 기다리면 바뀌지 않을까요?”했다. 피해자가 잘 빠지는 비합리적 자아반성/비판을 했고, 자신을 학대하는 가해자를 동정하고 이해하려고 하는 스톡홀름 증후군 증세를 보였다.

B씨의 동의하에 아이들을 보호하고 있는 친지의 도움을 받아 B씨는 아이들과 가정폭력피해 보호소로 거처를 옮겼다. 가정의 파괴는 이런 결정을 한 B씨가 한 것이 아니고 폭력으로 배우자를 학대한 사람한테 있다고 확인시켜드렸다. 가정폭력은 가족들 모두에게 깊은 상처를 남기는 심각한 사회문제다.

<유동숙 한미가정상담소 소장>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