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e-스쿠터 길거리 무법자 ?

2024-03-05 (화) 05:02:12 라디오 서울 뉴미디어 본부
크게 작게

엘에이의 교통문제 중 하나로 떠오른 전기 스쿠터문제가 심각합니다.규제 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헬멧규제도 없고 길거리 아무곳이나 던져놓아 사고도 많고 부상자가 속출하고 있으며 심지어 음주운행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규제대상에서 빠진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쯤되면 빅테크기업의 로비때문이라는 의구심을 만들고 있습니다.
대중들에게 폭팔적인 인기를 누리는 전기스쿠터 사업은 너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규제와 정책을 따라가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최근 전기 스쿠터는 도시에서 다양한 이동 수단 중 하나로 등장했습니다. 자전거, 대중 교통, 자동차와 함께 공존하고 있으나, 이들과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어려운 과제가 되었습니다. 편의성과 환경 친화적인 전기스쿠터는 편리하고 친환경적인 이동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를 앞세워 정부와 지자체는 규제를 강화하기보다는 이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 합니다.그러나 전기 스쿠터 관련 사고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음주 후 타는 젊은이들의 사고가 빈번하게 나타나면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전기스쿠터는 자전거와 동일한 도로규제를 받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자전거보다 더 위험하지만 사용자들의 인기가 높아서 규제밖에 있는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규제를 강화하면 이용자들의 편의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르웨이의 예를 보면 2022년 6월 5일부터 전기 스쿠터 규제가 강화되었습니다. 12세 이상만 전기 스쿠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연령 제한이 도입되었고 15세 미만 아동은 전기 스쿠터 이용 시 헬멧 착용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전기 스쿠터는 이제 소형 자동차로 분류되며, 법적으로도 자전거가 아닌 전기 스쿠터로 간주됩니다. 전기 스쿠터를 지지하는 정치인들의 입장은 다양하게 나뉩니다. 전기스쿠터를 지지하는 찬성자들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기 스쿠터는 배출 가스가 없으며, 석유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주장합니다. 전기 스쿠터는 도시 교통 혁신의 일환으로 주장하며 이로 인해 이동수단의 다양성증가와 교통체증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합니다. 전기스쿠터는 젊은세대에 인기가 높아서 일부 정치인들은 젊은 유권자들과 연결되기 위해 이러한 트렌드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지지자들은 전기 스쿠터가 짧은 거리 이동에 편리하며 주차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도시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한다고 주장합니다. 전기 스쿠터를 반대하는 정치인들은 다양한 이유로 반대 의견을 제시합니다. 전기 스쿠터는 보행자와 차량과의 충돌위험이 가능하고 실제로 보행자와 인도를 공유하면서 많은 사고가 발생한다고 주장합니다. 전기스쿠터는 도시의 공간을 차지하고, 보행자와 자전거와 같은 다른 이동 수단과 경쟁을 하고 있으며 규제를 적용하기가 어렵다고 주장합니다. 일부 정치인들은 전기스쿠터의 배터리생산과 폐기는 또다른 환경문제를 발생시킨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전기스쿠터가 도시 곳곳에 무작위로 방치되어있어서 도시미관과 안전에도 나쁜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정치인들은 전기스쿠터의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이러한 이유로 일부 정치인들은 전기스쿠터의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이러한 이유로 일부 정치인들은 전기스쿠터의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CPSC 리포트에 따르면 2017년에서 2022년사이에 전기스쿠터사고로 응급실을 찾은 사람은 삼십육만명이라고합니다. 응급실이아닌 일반병원을 찾은 환자를 포함한다면 그 숫자는 더 클것으로 예측됩니다. 정부의 일부관리들은 전기스쿠터가 사용자와시민모두에 위험이 될 뿐 아니라 이를 도로에 두면 외관상 좋지 않아 허용하기를 꺼린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전기 스쿠터를 '대체 교통수단'으로 홍보하며 시장 확대에 주력해왔고 전기스쿠터 대여 회사인 라임과 버드라이즈는 전기스쿠터의 합법화를 위해 로비를 해오고 있습니다.그러나 늘어나는 사고와 안전성우려로 전기스쿠터에 대한 규제가 추가되어야 한다는것이 여론입니다. 젊은층에 표를 의식하는 정치인들도 표만 생각하지말고 시민의 안전을 우선으로 하는 정책을 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라디오 서울 뉴미디어 본부>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