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새만금, 그 뜬금없는 이야기

2024-02-20 (화) 안상호 논설위원
작게 크게
‘새만금…’이라니 뜬금없다.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이야기인데 해 넘긴 지난 일을 새삼-. 계기는 우연히 TV 한국뉴스에서 본 국무회의 장면이었다. 언뜻 한 장관의 모습이 비쳤다. 그 대회 준비 책임자, 아직 국무회의에 자리가 있구나. 그러고 보니 그 낯 뜨거웠던 부실의 책임을 누가 졌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없는 듯 하다. LA한인들의 체험기도 남겨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기록에 한 조각을 더하기 위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엉망.” LA 1.5세 한인 의사의 새만금 참가 소감은 이 말로 요약된다.

어릴 때 한국서 스카우트를 했다는 그는 대회 관계자의 요청으로 대회를 도우러 나갔다. 항공료 등 개인경비와 대회 참가비 등 수 천달러를 들여 나간 자원봉사였다. 새만금에는 병원 하나와 진료소 5개가 들어 섰다. 응급 전문의인 그에게 클리닉 하나를 맡아 달라고 했다. 대회 사흘 전 진료소에 갔다. 덩그러니 텐트 하나만 쳐져 있었다. 전기도 없고, 아무것도 없었다. 한 켠에 물품이 쌓여 있었다. 그 때부터 공무원 서 너 명과 진료소 벽을 세우고 했으나 폭염에 질렸는지 이들은 슬금슬금 사라졌다. 다음 날 스카우트 대원들과 칸막이도 치고 겨우 클리닉 꼴을 갖췄다.


첫날부터 온열 환자가 쏟아졌다. 치료에 필수인 링거도 없었다. 급한 대로 게토레이드를 사서 먹였다. 진료소에서 화장실까지 100미터. 뙤약볕에 주사 바늘을 꽂은 채 화장실 갔던 환자가 오다가 또 쓰러져 들 것을 들고 뛰어야 했다. 나중에 에어컨이 들어왔으나 아파트에서나 쓸 용량. 진료소 안이 더 찜통이었다. 대회본부의 병원도 마찬가지. 개막일부터 전쟁터였다. 밀려드는 환자를 다 수용할 수 없었다. 다음 행사를 위해 준비된 피로연 장 테이블에 줄줄이 누웠다. 사태가 이렇게 되자 지원 나왔던 군의관 등은 슬그머니 없어졌다. “한국 군대 많이 좋아졌더라고요.” 그는 미군 군의관 출신이다.

일방 통행인 도로는 좁은 데다 걷는 사람까지 몰려 차 반, 사람 반- 구급차 운행이 어려울 정도였다. 밥 먹으러 가는데 한 시간이 걸렸다. 만원 버스를 보내고 기다리다 보니 그랬다. 걷는 게 빨랐다. 식당까지는 걸어서 30분. “어쩌면 그렇게 했는지 도무지 이해가 안 돼요.” 그는 당시 사진들을 보여 주며 혀를 찼다. 난리가 나자 대형 병원 의료진이 급히 투입됐다. 태풍으로 철수할 무렵, 공급되지 않아 쟁탈전이 벌어졌던 약품에다 게토레이드도 산처럼 쌓였다. 너무 늦었다.

‘나는 새만금에서 살아 남았다’는 티셔츠를 입은 외국 대원도 보였다. 마지막 행사장에서였다. 좋은 시간은 대회 후 서울에 나와 보냈다. 봉사 왔던 한국과 외국 의료진 등을 두루 만나 보냈던 교유의 시간은 특별했다. 대회장에서 스카우트들끼리 나눴어야 했을 시간이었다.

LA와 오렌지카운티의 10대 한인 대원 20여명을 인솔해 대회를 다녀온 한인 2세 스카우트 리더의 이야기도 다르지 않다. 차에서 내리는 순간 “이게 뭐지? 이건 아닌데?”라는 생각부터 들었다. 2세 대원들과 함께 자주 한국을 찾았던 그였다. 설악산 등에서 열렸던 여러 스카우트 야영대회에 참가해 왔다. 세계 대회라기에 기대가 컸는데 “충격이었다”고 한다.

캠프장에서는 역한 냄새가 코를 찔렀다. 악취 나는 진흙탕 위에 팔레트를 깔고 텐트를 세웠다. 음식은 배가 고플 정도로 부실했다. 화장실이 안 보였다. 화장실 한 번 갔다 오다가 지쳤다. 다행히 한인 대원들은 평소 특수부대로 불릴 정도로 강한 훈련으로 단련돼 잘 견뎠다. 조기 철수는 크게 아쉬웠다. 각국 대원들과 어울릴 기회를 날렸기 때문이다. 올 여름에 다시 한국에 갈 계획이다. 전처럼 해병대 캠프 참가와 뿌리 교육을 위해.

“누가 죽지 않아 다행.” LA의 새만금 참가자가 전하는 이야기다. 159명이 숨진 이태원 참사와는 이 점에서 다르다. 하지만 모두 ‘세계적 일’이 됐다. 새만금에서는 156개 국, 3만6,000여 명이 이를 겪었다. 이태원 희생자 중에 26명은 외국인이었다. 일이 터지면 책임은 피하고, 진상은 숨기고, 파장은 줄이는 데만 급급하다는 인상을 주면 국격이 의심받는다. 일 처리들이 그랬다.

이태원은 나라 밖에서도 아직 진행중인 일이다. 여기 이야기가 채 한국에까지 전해지지 않았을 따름. 대학생 자녀를 이태원에서 잃은 미국 한 아버지는 ‘서울에 간다면 무슨 일을 저지를지 몰라 가지 않는다’ 했다고 한다. 이 말을 전한 남가주의 한인 다큐 감독은 외국인 희생자 가족들의 분노를 담은 다큐를 제작하고 싶다고 했다. 외국인 희생자에게는 운구비, 장례비에 위로금도 전달했다고?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같은 황폐함은 참전 군인에게만 엄습하는 것이 아니다. 참사 후 가족의 정상생활이 멈춰 섰다는 가정도 있다. 뭘 얼마나, 어떻게 줬다는 이야기인지 몰라도 그런 것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었다. 책임져야 할 공직자들이 껌 딱지처럼 자리에 눌러 붙어 있는 모습은 비루하다.

한국 정부는 턱없이 완강할 때가 많아 보인다. 굳이 그러지 않아도 될 것 같은 데 안 부려도 될 억지가 많다는 것이다. 해병 장병 순직사건도 그렇다. 오만해서 그런지, 뭘 몰라 그런지, 아니면 무슨 강박증이 있는 건지. 동네축구 하듯 뻥뻥 똥볼을 차 대는 모습이 안타깝다.

<안상호 논설위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