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700~1,000여 건 피해 신고 접수, 신청 경험 적은 대학 신입생 피해 많아
▶ ‘선급 신청비·가짜 수표 지급·세미나 강매’ 개인 정보나 선급 수수료 제공하면 안 돼
해마다 장학금 관련 사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 소셜 시큐리티 번호, 은행 계좌 번호 등 개인 정보와 선급 신청비 등을 요구하면 사기로 의심되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로이터]
대학 진학을 위한 장학금이 절실한 학생과 가족을 대상으로 한 사기 범죄가 해마다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대학 등록금과 기숙사비 등이 크게 인상되면서 장학금에 대한 학생들의 필요와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데 바로 이 같은 절실한 심정을 노린 악랄한 사기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장학금 및 학자금 관련 사기 범죄 유형과 피해 방지를 위한 요령을 정리한다.
◇ 매년 700~1,000여 건 피해 신고
‘연방거래위원회’(FTC)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 약 1,000건에 달하는 장학금 및 학자금 관련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피해 신고는 2017년과 2018년 각각 770건과 725건으로 감소했지만 최근 다시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가족은 피해 사실을 모르고 지나가거나 피해 사실을 신고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피해 사례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또 장학금이나 학자금을 지원한다는 허위 광고 이메일이나 신청한 적도 없는 장학금 수혜자로 선정됐다는 내용의 이메일도 갈수록 판을 치고 있다. FTC에 따르면 연방 학자금 대출과 관련된 신분 도용 피해는 전년보다 무려 119%나 늘었고 학자금 대출 기관을 대상으로 한 불만 신고는 3만여 건에 달했다.
◇ 진학 앞둔 신입생 피해 커
소득이 충분치 않은 가정은 대학 진학 시 장학금 혜택이 절실하다. 대학 진학에 필요한 비용은 가족 소득과 저축, 학자금 대출, 학자금 지원, 장학금 등으로 충당된다. 학자금 대출 기관 샐리매에 따르면 일반 가정의 경우 대학 학자금의 절반 정도를 가족 소득과 저축 등을 통해 마련한다. 나머지 학자금 중 약 28%는 장학금과 학자금 무상 지원 등을 통해 지급하고 대출을 학자금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24% 정도다.
학자금 마련이 절실한 학생일수록 사기 범죄에 노출되기 쉽다. 특히 장학금 신청 경험이 많지 않은 대학 신입생에 의한 피해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비영리 소비자 보호 단체 BBB에 따르면 학생에 의한 장학금 사기 보고 건수가 약 9.4%를 차지하고 실제로 피해를 본 학생은 약 24%나 된다. 반면 학생이 아닌 피해자에 의한 피해 접수는 약 28%다.
◇ ‘선정됐으니 신청비 먼저 보내라’
가장 흔한 사기 수법은 학생이 지원한 적 없는 장학금 수혜 대상이라는 내용의 이메일이다. 그러면서 장학금을 받으려면 신청 수수료나 선납 세금 등의 비용을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수법이다. 장학금이 절실한 학생이 순간적으로 속아 돈을 보내고 나면 약속했던 장학금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피해만 발생하게 된다.
또 따른 수법으로 가짜 수표를 사용한 사기도 많이 발생한다. 선정된 장학금 액수가 적힌 수표를 학생과 가족에게 먼저 보낸 다음 액수 중 일부를 수수료로 다시 장학금 지급 기관에 보내라고 요구하는 수법이다. 장학금 지급 기관을 사칭한 범죄자가 보낸 수표는 물론 가짜 수표지만 너무 감쪽같아서 진짜와 구별하기 힘들 정도다. 결국 가짜 수표는 은행에서 부도가 나고 미리 보낸 비용만 날리는 피해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 장학금 세미나 열고 프로그램 강매
장학금 세미나를 개최해 참가비 등만 챙겨가는 악덕 기관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들은 정식 기관과 구분이 힘든 기관명을 사용해 잘 알려지지 않는 내부 정보를 제공하겠다면 학생과 가족을 현혹한다. 하지만 세미나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연방정부 기관 웹사이트를 통해 무료로 얻을 수 있는 정보들로 세미나 참석을 위해 굳이 참가비를 낼 필요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 기관이 사용하는 수법은 ‘타임쉐어’(Timeshare) 판매 수법과 유사하다. 무료 여행이나 무료 저녁을 미끼로 세미나에 참석한 사람들에게 장학금 및 대학 진학 컨설팅 프로그램을 강압적으로 판매된다. 세미나에는 흔히 장학금을 성공적으로 받았거나 대학 진학에 성공한 사람들이 초청 강사로 나와 사례를 설명하지만 사실여부는 가리기 힘들다. 연방교육국과 ‘감사관실’(The Office of the Inspector General) 사기성 세미나 외에도 학자금 지원을 보장하는 텔레마케팅이나 이메일, 높은 비용을 부과하는 영리 단체 등에 주의하라고 경고한다.
◇ ‘개인정보·선불 수수료’ 제공하면 안 돼
장학금 사기 피해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소셜 시큐리티 번호, 은행 계좌 번호, 크레딧 카드 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선불 수수료를 지불하지 않아야 한다. 장학금 지원 기관과 항상 이메일 등 서면으로 연락을 취하고 서면 연락을 거부하는 기관은 일단 의심하는 것이 좋다. 개인 신상 정보를 요구하는 기관이나 웹사이트도 주의해야 한다.
개인 신상 정보는 소셜 시큐리티 번호나 은행 계좌 번호 등 민감한 정보가 아니라고 판단해 쉽게 제공하기 쉬운데 학생의 개인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한 범죄 기관도 성행하고 있다. 설문 조사를 통해 입력된 학생의 개인 정보는 사기 범죄자나 다른 광고 업체에 판매돼 또 다른 사기나 악성 광고에 사용될 수 있다.
합법적인 장학금은 일반적으로 상환할 필요가 없고 신청 수수료 등의 비용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펠 그랜트와 같은 연방 무상 학자금 지원을 신청하려면 ‘연방 학자금 무료 신청서’(FAFSA)를 신청하면 된다.
연방교육국이 제공하는 연방 학자금 지원이나 연방 학자금 정보 등 신뢰할 만한 정보를 통해 학자금을 신청하는 것이 안전하다. 또 대학 학자금 담당 부서를 통해서도 대학이 제공하는 장학금 및 학자금 지원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재학 중인 고등학교 카운슬러도 신뢰할 만한 장학금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창구다.
장학금 관련 사기 피해를 당했다면 ‘FTC’(https://www.ftc.gov/media/71268)나 ‘소비자재정보호국’(CFPB) 웹사이트(https://www.consumerfinance.gov/complaint/)를 통해 신고할 수 있다.
<
준 최 객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