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개미가 돈 벌기 어렵다고?’… 증시 수익률 150%

2023-10-25 (수) 12:00:00
크게 작게

▶ S&P 500 140%보다도 높아

▶ 대형 기술주 보유가 ‘적중’

‘개미는 돈 벌기 어렵다’는 말은 미국 주식시장에서도 통용되던 말이다. 월가에서는 개미투자자가 비쌀 때 사고, 쌀 때 팔기를 반복하는 정교하지 못한 투자자라고 놀린다. 지금도 그럴까?

월스트릿저널(WSJ)은 개미투자자에 대해 ‘멍청하다’고 조롱하는 것은 옛일이 됐다면서 지난 10년간 개미의 투자수익률은 S&P 500 지수를 능가했다고 23일 보도했다.

WSJ은 지난 2014년 초부터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수익률을 조사해온 반다 리서치의 자료를 인용, 최근 10년 가까운 기간 개인투자자들의 평균 주식 포트폴리오 투자수익률은 150%로, S&P 500 지수 상승률 140%를 웃돈다고 전했다.


일반적으로 소액 투자자들은 대형 기술기업 투자를 선호했다. 투자의 40%를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등의 주식에 한다. 지난해 대형 기술주가 급락하긴 했지만 대체로 지난 10년간 시장을 지배해 왔다.

애플 주가는 2014년 이후 800% 가까이 급등했고, 테슬라는 약 2,000% 치솟았다. 엔비디아는 10,000% 이상 폭등했다.

온라인 중개업체 로빈후드 마켓은 약 2,300만명의 사용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100개 종목을 추종하는 지수를 만들었다. 이 지수 주요 투자 종목에는 포드자동차, 월트 디즈니, 게임스톱, AMC 엔터테인먼트 홀딩스 등과 일부 대형 기술주가 포함돼 있다.

워런 버핏도 비슷한 전략을 구사한다. 그는 기술주 투자를 기피해왔는데, 애플에 대한 투자도 배제하다가 한 대리인이 포트폴리오에 담은 이후 애플을 연구해 애플을 소비자 회사로 볼 수 있다고 판단했다. 현재 버핏은 애플에 가장 많이 투자하고 있다.

개미들이 전문가에 비해 가진 장점은 고객에게 성과 보고를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시장이 침체해도 편안하게 극복할 수 있다.

기관투자자들도 주요 지수 이상의 성과를 내기가 쉽지 않다. S&P 다우존스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미국 대형주 펀드 중 약 86%가 S&P 500 지수상승률을 밑돌았다.

미국 상장 주식과 상장지수펀드에 대한 개인의 순매수는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을 훨씬 웃돌고 있다. 이제 월가는 주식 시장 움직임의 핵심 요소로 소액 투자자를 주목하고 있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