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시론 - “좋아하는 거 좋아하면서 하자”

2022-06-10 (금) 이태상/언론인
크게 작게
도쿄 올림픽에서 양궁 3관왕이 된 안산(20) 선수가 경기 후 한 말이다. 그는 “좋아하는 거 좋아하면서 살자”가 그의 신조라고 소셜미디어에 올렸다.

양궁 2관왕이자 최연소 금메달리스트가 된 김제덕(17) 선수도 이겨도 져도 “파이팅을 외치면서 경기의 흐름을 즐기자”는 자세로 경기에 임했다고 한다.

그는 올림픽 출전에 앞서 마음 다스리는 법을 써놓고 자주 들여다보았다고 한다. “(우승의) 욕심을 갖자, 욕심에 앞서 자신을 믿자, 자신을 믿기보다 즐기면서 쏘자”라고.
‘아는 자는 좋아하는 자만 못 하고 좋아하는 자는 즐기는 자만 못 하다’는 공자의 말도 있지 않은가.


2011년 9.11 직후 뉴욕타임스에 희안한 전면광고가 실렸었다. 지면 한가운데 고인의 사진 한 장과 출생과 사망 일자와 함께 그 밑에 아직 살아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남긴 ‘놀이를 즐기라(Enjoy the Game)’는 ‘유언’이었다.

우리가 구름잡이라 할 때는 그 실체가 없다는 말이다. 요즘 우리가 ‘구름(clouds)’이라 할 때는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이기보다 ‘데이터 구름(data clouds)’이나 ‘네트워크 구름(network clouds)을 말할 정도로 자연계와 기술계가 구분이 분명치 않게 되었다.

2015년 출간된 ‘경이로운 구름(The Marvelous Clouds)’에서 미국 아이오와 대학 커뮤니케이션 교수 존 다럼 피터스(John Durham Peters, 1958 - )는 클라우드가 우리의 새로운 환경으로 가까운 미래에 잡다한 모든 것들이 구름 속으로 들어가고, 인간의 몸이 단말기가 되어 구름과 우리 몸 사이에 문서와 영상이 흐르는 세상이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우리는 흔히 매체(media)가 환경 (environments)이라고 생각하지만 그 역(逆)도 또한 진(眞)이라는 주장이다.
아일랜드의 철학자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ey/Bishop Berkeley 1685-1753)는 “세상은 다 우리 마음속에 있다.”라고 했다지만, 불교에서 말하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와 같은 뜻이리라.

우리 선인들은 인생이 하늘의 한 조각 뜬구름 같다고 했다. 구름이 있으면 천둥·번개도 있게 마련이다. 달라이 라마의 육성이 담긴 음악이 최근 빌보드 뉴에이지 앨범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앨범은 그 제목이 ‘내면세계(Inner World)’라는 만트라(Mantra) 진언(眞言)을 암송하는 명상음악이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고립된 상태에서 시선을 안으로 돌려 마음을 돌아보고 우주로 비전을 넓히라는 뜻이리라.

“네 세상은 너, 난 내 세상 (Your world is you. I am my world.)”
미국의 시인 월리스 스티븐스(Wallace Stevens 1979-1955)의 ‘소나무 숲속 작은 닭들(Bantams in Pine-Woods)’에 나오는 한 시구(詩句)이다.


스티븐스는 낮에는 직장인 보험회사 일을 보면서 밤에는 어떻게 자신과 세상이 서로에게 의지하는지, 어떻게 자신이 경험하게 되는 세상을 자신이 창조하게 되는지, 평생토록 시작(詩作)을 통해 천착(穿鑿)했다고 한다.

마치 유체이탈이라도 하듯 초연한 경지에서 자신을 포함한 모든 사물을 관조한 스티븐스는 시인이라기보다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보이는 것에서 하나의 우주를 창조한 마술사 아니 어쩌면 신(神)이었으리라.

이것이 어디 스티븐스뿐이랴. 우리 모두 다 그렇지 않나. 이 세상에 태어나는 순간부터 떠나는 순간까지 쉬지 않고 각자는 각자 대로 각자의 현실, 곧 자신만의 세상과 우주를 시시각각으로 창조하고 있는 것이리라.

어차피 인생이 소꿉장난 같다면 이렇게 놀면 어떻고 저렇게 놀면 어떠리. 모든 사람이 다 똑같은 놀이와 장난을 할 필요도 없고 같은 길을 갈 이유도 없으리라. 그리고 매사에 너무 심각할 것도 없지 않을까?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겠지만 그래도 각자는 각자 제멋대로, 제 마음대로, 제 가슴 뛰는 대로 살아보는 것 이상 없지 않을까?

<이태상/언론인>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