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중국의 쿠데타

2021-10-07 (목)
크게 작게
대만해협에서 전운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이 국경절 연휴(10월 1∼7일) 나흘째인 지난 4일 대만을 향해 사상 최대 규모의 공중 무력시위에 나서자 대만이 긴급대응에 나서는 등 일촉즉발의 상황을 맞고 있는 것이다.

대만에서의 군사적 갈등은 미국과 중국의 전쟁으로 이어질 것인가. 뒤따라 제기되는 질문으로 전쟁불가피론에 점차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이 정황에 시진핑의 맞이할 정치적 운명을 예언한(?) 신작이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베이징 주재 대사관에도 근무한 경험이 있는 영국의 외교관 출신 로저 가사이드가 쓴 ‘차이나 쿠(China Coup)’가 바로 그 책이다.


시진핑은 쿠데타로 밀려나고 만다는 것이 실제 인물을 실명으로 등장시켜 픽션 형식으로 쓰여 진 이 책의 골자다.

‘시진핑은 부패척결을 명분 삼아 마오쩌둥이 생존 시에 가졌던 ‘영수(領袖)’란 호칭을 공식적으로 얻음으로서 임기가 만료되는 2023년 이후에도 권력을 계속 유지하려 할 것이다’- 중국의 최고 권력 향배와 관련해 가장 유력시 되는 분석이다.

그러나 시진핑의 임기연장의 정치 무대가 되는 2022년 전국인민대표대회, 그러니까 내년 11월 이전에 쿠데타가 발생해 시진핑은 강제로 은퇴를 하게 된다는 시나리오를 ‘차이나 쿠’는 제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진핑 대신 1인자로 부상하는 인물로는 리커창 총리가 지목됐다. 당내 서열 2위인 그 리커창과 4위인 왕양이 왕치산 국가부주석과 일부 군부 실력자들의 도움을 받아 시진핑을 몰아내고 이 쿠데타 주역들은 정치적 개혁과 함께 중국을 민주화로 이끈다는 것.

저자는 무엇을 근거로 쿠데타의 주역으로 리커창과 왕양을 꼽았을까. 겉으로는 일사분란한 통일체로 보인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치열한 권력다툼을 벌이고 있는 것이 중국공산당이다.

2012년 시진핑이 최고 권좌에 오르자 바로 손 댄 것은 라이벌세력 견제다. 그 작업의 일환으로 당 정치국 상무위원을 9명에서 7명으로 줄였다. 이 작업과 함께 정치국 상무위원 대부분은 시진핑계로 채웠다.

그 결과 공청단 출신인 리커창과 왕양만이 비 시진핑계의 개혁세력으로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남겨지게 됐고 그나마 잇단 견제로 이들은 간신히 정치적 생명을 연장해왔다.


이후 지난 9년은 시진핑 독주시대였다. 부패척결을 내세워 당내 라이벌세력인 상하이파, 공청단에 대해 대대적 숙청을 벌였다. 그리고 급기야 ‘시진핑 사상’ 교육을 시키는 등 개인숭배작업까지 펼쳤다. 거기에다가 ‘중국몽’이 제창과 함께 공격적인 완력외교로 일관해왔다.

바로 시진핑의 무절제한 권력에의 독주가 라이벌 세력은 물론, 당내 원로들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그런데다가 미국과의 대립으로 경제는 엉망이 되고 ‘공동부유’ 등 마오쩌둥 시대로의 회귀정책은 중국의 중산층마저 등을 돌리게 했다.

한마디로 시진핑은 중국을 권위주의 체제에서 공공연한 전체주의 체제로 변모시키려 들고 있다는 것이 저자 가사이드의 지적으로 그 과정에서 시진핑은 무수한 정적을 만들어낸 데다가 실정이 겹치면서 결국 쿠데타로 쫓겨나는 것으로 그리고 있다.

과거 마오쩌둥은 자신의 권력기반을 강화시키려 들다가 중국인민에게 대참사를 안겨주고 만다. 5,000여만이 희생된 대약진운동(1958~1962)과 문화대혁명(1966~1976)이 그것이다.

1인 집권 장기독재 체제로 치닫고 있는 시진핑도 마오쩌둥과 마찬가지로 중국을 또 한 차례의 대재난으로 몰고 갈 위험이 크다는 것이 저자가 던지고 있는 또 다른 메시지다.

쿠데타로 쫓겨나는 시진핑, 그런 일이 실제로 발생하기는 할까.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