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치료 효과가 기대돼 임상시험에 진입한 항 바이러스제들이 너무 비싼 가격 때문에 ‘그림의 떡’이 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코로나19 치료 후보 약물이 임상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보여 공식 치료제로 승인된다고 하더라도 지나친 고가 탓에 다수 환자가 혜택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최근 학술지 ‘바이러스 퇴치 저널’에 실린 연구논문을 인용해 11일 보도했다.
이중 하나인 소포스부비르(상품명 소발디)는 이미 만성 C형간염 치료제로 개발돼 쓰이는 약물이다.
이 약을 C형간염 환자에게 1주기(12주)간 투여하는 데에는 미국의 기준약가를 적용할 때 1만8,610달러가 든다. 한 알에 약 340달러나 되는 셈이다. 코로나19의 폐 손상을 억제해 줄 가능성으로 주목받는 폐섬유증 치료제 피르페니돈도 1주기(4주) 치료에 드는 약값도 9,606달러다. 보훈병원 할인을 적용해도 6,513달러로 만만치 않은 비용이다.
연구진은 코로나19 치료제로 거론되는 기존 약물의 각국에서의 가격과 이들의 복제약 예상 가격을 비교해 제약사들이 고가 정책으로 폭리를 취한다는 주장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