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 임대료 부당지원 논란에 비상식적 변명으로 일관
▶ ‘성차별 발언’ ‘맞춤형 출장’ ‘출장비 꼼수’ 논란 이어져
한우성 재외동포재단 이사장이 '비상식적'인 언행으로 연일 구설에 오르고 있다.
미국 영주권자로 LA에 살았던 그는 지난해 10월 이사장에 부임한 이후 지금까지 재단 예산으로 자신의 서울 아파트 임대료를 내게 하고 있다. 보증금 4억 원에 월세 80만 원인데 보증금 없이 월세로만 따지면 매달 300만 원이 넘는 액수다.
재단이 아파트 임대료를 지원할 아무런 법적 근거가 없다는 언론의 지적에 그는 합리적인 해명은 내놓지 못한 채 오직 '말 바꾸기'로 일관해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지난 16일 "국유재산법시행령 4조, 공무원 주거용 재산관리 기준 2조, 행안부 정부청사관리본부의 청사시설기준표에 따른 것"이라는 동문서답식 답변을 내놓더니 17일에는 "공무원법에 따른 것이며 외교부 승인을 거쳤다"고 말을 바꿨다.
하지만 외교부가 "동포재단 임직원은 공무원이 아니고, 임차료 지원을 승인한 바 없다"고 밝히면서 머쓱해지자 20일에는 다시 "공무원 여비규정에 따른 지원"이라는 해명자료를 냈다.
그러나 공무원 여비규정은 '국가공무원이 공무로 여행하는 경우에 지급하는 여비'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이는 '공무원'의 '출장 경비'에 관한 규정으로 공무원도 아니고 출장도 아닌 자신의 경우와는 전혀 무관한 내용이다.
동포재단 이사장 숙소 지원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 춘천 거주자로 서울에 연고가 없던 조규형 전 이사장(2013∼2016)은 부임 초기 2개월간 개인 비용으로 숙소를 얻었고 이후에는 거주지를 서울로 옮겼다.
한 이사장의 아파트 임대료 부당지원 관련 기사에는 "국민 세금을 눈먼 돈으로 아는가" "환수하라" 등의 댓글이 달렸고, 그는 결국 이달 치부터 임대료 지원 중단을 지시했다. '부당 이익'을 자인한 꼴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상식적으로 납득이 되지 않는 그의 처신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6월 10∼14일에는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는 싱가포르에 다녀와 '맞춤형 출장' 아니냐는 논란을 불렀다.
당초 계획에 없던 출장을 북미정상회담 개최가 확정된 이후 부랴부랴 잡은 데다, 출장 기간 내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같은 숙소인 세인트레지스 호텔에서 묵었기 때문이다.
본인은 '세계한상대회 홍보 및 한상기업 청년채용 설명회'를 출장 명목으로 내세웠지만 동포사회는 "한상대회까지 4개월이나 남은 시점에 뜬금없이 억지로 만든 출장"이라는 비판을 제기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24일 취임식 때에는 부적절한 언행으로 도마 위에 올랐다.
당시 그는 "연설과 여성의 스커트는 짧을수록 좋다" "수평적 조직문화를 만들어 이른 시일 내에 (내가) 여직원들과 팔짱을 낄 수 있도록 하겠다" 등의 부적절한 발언을 했고, 직원들은 "성희롱 예방교육을 받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수군댔다.
재단 내부에서는 한 이사장의 '출장비 꼼수 수령'에 대한 비아냥도 그치지 않고 있다.
그는 연고가 있는 LA에 출장 갈 때마다 자기 집에 머물면서도 숙박비를 꼬박꼬박 챙긴다고 한다. 해외출장시 숙박비 한도의 80%만 받으면 영수증을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는 규정을 악용한 것이다. 그는 부임 후 10개월간 3차례 미국 출장을 다녀왔고 24일 중 14일을 LA에 머물렀다.
한 이사장의 이런 행보에 대한 외부의 시선도 따가워지고 있다. 동포 분야 시민단체 관계자는 21일 "동포 출신이 재단 수장에 올라 적극 환영했는데 10개월간 지켜보니 남은 건 실망뿐"이라며 "특히 아파트 임대료 논란에는 어이가 없고 '제사보다 잿밥'에만 관심이 있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