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총영사관 사실상 ‘건물소유권’ 요구에 반발

2018-08-21 (화) 12:00:00 김상목 기자
크게 작게

▶ 범커뮤니티 모금 통한, 당초 설립 배경 무시

▶ 한국정부 지원 빌미, ‘코리아하우스’ 말 안돼

총영사관 사실상 ‘건물소유권’ 요구에 반발

남가주 한국학원 이사장을 역임하며 윌셔사립초등학교 살리기 운동을 적극 주도했던 홍명기(맨 오른쪽) M&L 재단 이사장이 20일 공청회에서 뿌리교육 목적에 부합한 시설 사용의 당위성을 힘주어 강조하고 있다. <박상혁 기자>

■ 윌셔사립초등 건물활용 공청회

20일 남가주 한국학원에서 열린 윌셔초등학교 건물 활용방안 공청회는 남가주 한국학원이 아닌 LA 총영사관이 일방적으로 주도하면서 일부 이사들과 한글학교 교사들이 반발하기도 했다.

특히 이날 총영사관측이 학교 건물 활용 방안으로 제시한 ▲한국교육원 별관설치안과 ▲한국문화원 별관 성격의 코리아 하우스 설치안은 남가주 한국학원 측에 대해 사실상 건물 소유권 이전을 요구한 것으로 해석돼 논란이 예상된다.


이날 김완중 LA 총영사는 “한국교육원 별관 방안이나 코리아하우스 방안을 채택해 교육원장이 포함된 별도의 이사회를 구성해야 한국정부가 지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총영사관의 제안은 남가주 한국학원이 보유한 학교 건물과 부지 소유권을 새로 구성된 별도의 이사회로 이전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정희님 남가주 한국학원 이사장은 “총영사가 제시한 방안은 남가주 한국학원에 건물과 부지 소유권을 내놓으라는 것과 다르지 않다”며 “이사회 논의도 거치지 않은 채 총영사가 일방적으로 이같은 제안을 한 것”이라고 반발했다.

정 이사장은 “현재 교육원 건물도 다 활용하지 못하고 임대수입을 얻고 있는 상황에서 총영사관이 또 교육은 별관 운운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공청회에 참석한 한 한글학교 교사는 “지원금을 빌미로 지분이나 소유권을 요구하는 듯한 태도는 사리에 맞지 않다”고 반발하기도 했다.

두 번째 대안으로 제시한 ‘코리아 하우스’ 설치안도 구체성이 없고 모호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남가주 한국학원이 가진 건물과 부지 소유권 이전을 전제로 한 LA 총영사관측의 제안은 이사회가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 논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김상목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