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폼페이오,‘핵 프로그램 1년내 해체’ 논의”

2018-07-02 (월) 12:00:00
크게 작게

▶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밝혀… 북한 협조하면 가능

“폼페이오,‘핵 프로그램 1년내 해체’ 논의”

지난달 7일 마이크 폼페이오(오른쪽부터) 연방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국가안보 보좌관이 백악관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일본총리의 기자회견 후 현장을 떠나는 모습. [AP]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은 1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1년 이내에 해체하는 방법에 대해 조만간 북측과 논의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볼턴 보좌관은 이날 CBS 방송의 ‘페이스 더 네이션’과의 인터뷰에서 “지난번 출연 때 ‘(북한의 본격적인) 양보가 이뤄지기 전에 (북한으로부터) 무기가 인도될 것’이라고 강조했었다‘는 사회자의 지적에 ”우리는 (북 비핵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왔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는 폼페이오 장관이 지난달 12일 싱가포르에서 북미정상회담 이후 후속 협의를 위해 오는 6일께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시 ’1년 내 해체‘ 시한 제시와 함께 비핵화 시동을 위한 초기 조치로 북한의 일부 핵·미사일 반출까지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볼턴 보좌관은 그러면서 핵 프로그램은 물론 생화학 무기에 대한 완전한 공개를 포함한 북한의 협조를 전제로 ”우리는 대부분의 북한 핵 프로그램을 1년 이내에 해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볼턴 보좌관은 이어 ”북한이 이미 (핵 프로그램 폐기를 위한) 전략적 결단을 하고 협조한다면 우리는 매우 빨리 움직일 수 있다“면서 ”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신속히 해체하는 것이 자신들에게도 이익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래야) 북한에 대한 제재 해제와 한국, 일본 등의 대북지원도 시작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볼턴 보좌관은 북한이 단지 ’외교를 보호막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북한이 과거에 해왔던 것“이라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싱가포르에서 자신은 ’과거 정권‘과는 다르다고 수차례 강조했다. 북한이 스스로 행동으로 말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국방정보국(DIA)이 최근 보고서에서 6·12 북미정상회담에서의 ’완전한 비핵화‘ 합의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핵탄두와 주요 비밀 핵시설을 은폐하려는 의도를 품고 있다고 평가했다는 워싱턴포스트(WP)의 보도에 대해서는 ”정보사항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면서 구체적 답변을 피했다.

볼턴 보좌관은 다만 ”우리는 수십 년간 협상에서 북한이 보여온 행동 패턴을 너무 잘 알고 있다“면서 ”북한이 핵과 생화학무기 프로그램, 탄도미사일 개발을 위한 시간벌기용으로 협상을 활용해온 위험을 정확히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