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주 정책 자문위원에, “친이민 고수” 첫 사례
▶ 연방정부와 갈등 우려
트럼프 행정부와 이민정책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캘리포니아가 불법체류 이민자를 주 의회의 공식 정책 자문관으로 임명, 친이민 정책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나섰다.
캘리포니아 주 전체의 정책을 총괄하게 될 주 의회 공식 조직에 불법체류 이민자를 임명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15일 ‘새크라멘토비’와 워싱턴포스트 등 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케빈 드 레온 주 상원의장은 이날 불법체류이민자로 변호사 겸 인권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는 멕시코 출신 여성 리즈베스 마테오(33)를 주 의회 산하 ‘캘리포니아 학생 지원 프로그램 프로젝트 자문위원회’(the Student Opportunity and Access Program Project Grant Advisory Commitee)의 자문위원으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이 위원회는 저소득층 학생들의 대학교육 지원을 위한 재정지원 및 입학 정책을 자문하는 조직으로 캘리포니아 주 전체의 저소득측 대학교육 지원 정책을 아우르게 된다. 다만, 자문위원에게는 임금이 지급되지 않아, 마테오가 주정부로부터 금전적 혜택을 받는 것은 아니다.
레온 주 상원의장실은 주 상원규칙위원회가 전날인 14일 마테오를 자문위원으로 공식 임명했으며, 불법체류이민자 출신이 주 전체의 정책을 아우르는 공식직책에 임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마테오의 임명은 LA를 방문한 트럼프 대통령이 캘리포니아 주의 이민자 보호정책을 강도 높게 비난한 다음 날 발표돼 캘리포니아 주가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정책에 맞서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내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멕시코 옥사카 지역에서 태어나 14살 때 부모와 함께 불법 입국해 캘리포니아에서 성장했고 샌타클라라 로스쿨을 졸업한 뒤 2016년 캘리포니아 변호사 시험에 합격했다.
마테오는 “대학교육을 받기 힘든 저소득층 학생들과 대입진학률이 낮은 빈곤지역 학생들을 위해 캘리포니아가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위해 불법체류이민자로 살아온 내 경험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마테오가 현재 DACA 수혜자 신분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공화당 트레비스 앨런 주 하원의원은 “불법체류자를 주의회 공직에 임명한 것은 캘리포니아 주민들에 대한 모욕”이라며 “민주당은 캘리포니아 주민보다 불법체류 이민자들을 더 우선시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하지만, 레온 주 상원의장은 “마테오가 캘리포니아의 가치를 온 몸으로 보여주는 용기있고, 결단력 있는 젊은 여성”이라며 그녀의 임명을 의미있는 일로 높이 평가했다.
<
김상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