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해외 이산가족에게도 정책적 배려 있어야

2000-07-06 (목)
크게 작게

▶ 사설

이산가족 상봉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남북 적십자 회의에서 남·북한 대표들이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에 원칙적 합의를 함으로써 오는 8월부터 이산가족 상봉의 길이 열리게 돼 기대는 한껏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산가족 문제는 비단 남·북한 주민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 세계에 나가 있는 해외 한인을 포함한 한민족의 전체의 문제이기도 하다. 미주 한인 사회에서도 이산가족 상봉은 절실한 문제다. ‘어차피 고향을 등진 사람이 어디든 못 가랴’- 고향이 공산화 돼 ‘망향의 한’을 가슴속에 묻고 미주를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선택한 실향민들이 적지 않은 게 미주 한인사회이기 때문이다.

현재 LA 일원에 거주하는 실향민, 이산가족 1세는 5,000명이 넘는다. 또 북한을 다녀온 사람은 연인원으로 3,500여명을 헤아린다. 북녘에 두고 온 혈육을 만나기 위해 북한을 방문한 수많은 이산가족 1세 한 사람 한 사람은 저마다 피멍울진 사연을 간직하고 있다. 남편이나 부모를, 또 형제를 하루아침 생이별한 고통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음지에서 인고의 세월을 살아왔다. 남북대치의 엄혹한 현실에서 혹시 북한을 방문한 사실이 알려지면 한국에 두고 온 가족에 불이익이 가지 않을까, 또 북한의 혈육에 해가 갈까 숨죽여 살아 온 그들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열린 남북적십자회담에 대한 미주 한인사회의 기대는 어느 때보다 높았고 또 이번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합의 소식은 여간 고무적인 게 아니다. 이같은 높은 기대는 남북 정상회담후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방북신청이 크게 늘고 있는 사실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본국 이산가족정보센터의 방북신청 업무를 대행하고 있는 재미 이북오도민연합회에 접수된 방북신청은 남북 정상회담 이후에만 50여건을 기록, 지난 98, 99년 두해 동한 통틀어 140여건밖에 안된 것과 큰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산가족 문제와 관련해 남북한 당국이 꼭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해외 이산가족의 상봉을 적극 돕는 정책적 배려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산가족 상봉의 현장 취재에 해외 언론도 참가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앞서도 지적했듯이 이산가족 문제는 전 세계에 나가 있는 해외의 한인을 포함한 전체 한민족의 문제이다. 그러므로 이산가족 문제 해결에서 해외 한인은 반드시 정책의 대상이 되어야 하고 또 ‘알권리’도 보장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같이 남과 북은 물론 전세계 한민족이 하나가 돼 이산가족의 쓰라린 상처 치유에 나설 때 분단의 아픔도 그만큼 경감된다고 본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