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연준위원들 “연내 추가 금리인하 적절”…일부는 “신중한 접근”

2025-10-08 (수) 01:10:41
크게 작게

▶ 9월 FOMC 의사록 “위원들, 고용시장 위험 증가 인정…인플레 경계감은 유지”

지난달 16∼17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위원들은 미 고용시장이 빠르게 냉각될 위험이 증가한 점을 고려해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에 대다수 동의했지만, 일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에 대한 경계의 끈을 놓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준은 8일 공개한 8일 FOMC 의사록에서 "참석 위원들은 고용 시장의 하방(약화) 위험이 증가했다고 판단했다"며 "이런 배경에서 거의 모든 참석자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는 것을 지지했다"라고 전했다.

이어 "대부분 참석자는 고용 시장의 하방 위험이 증가한 가운데 인플레이션의 상승 위험이 감소하거나 변화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라고 연준 인사들의 금리 인하 판단 배경을 소개했다.


다만, 연준은 의사록에서 "일부 참석자들은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이유가 있다고 언급하거나 동결 결정을 지지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며 그 근거로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9월 FOMC에서 회의에서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인 스티브 마이런 신임 이사는 0.25%포인트 금리 인하에 반대해 0.50%포인트 기준금리 인하를 주장한 바 있다.

반면 당시 회의에서 0.25%포인트 인하에 찬성 입장을 표하면서도 내심으로는 동결 입장에 찬성하는 '매파'(통화긴축 선호) 성향 위원도 있었음이 확인된 것이다.

향후 추가 금리 인하의 시기와 폭에 대해서도 견해가 엇갈렸다.

연준은 의사록에서 "대부분 위원은 올해 남은 기간 정책을 추가로 완화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했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일부 참가자들은 여러 척도로 본 금융 여건은 통화정책이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이는 향후 정책 변화를 고려하는 데 신중한 접근을 정당화한다"라고 설명했다.

이날 공개된 연준 의사록은 9월 FOMC에서 추가 인하의 시기와 폭을 둘러싸고 위원들 사이에 상당한 견해차가 있었음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연준은 지난달 16∼17일 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4.00∼4.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연방정부 일시적 업무정지(셧다운)로 정부 공식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된 가운데 연준은 이달 28∼29일, 12월 9∼10일 올해 남은 두 차례 통화정책 회의를 연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은 12월 회의까지 연준이 연내 기준금리를 총 0.50%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78%로 반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