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환율 ‘킹달러’가 뉴노멀… 한인사회 희비 엇갈려

2025-09-10 (수) 12:00:00 박홍용 기자
크게 작게

▶ 1,380~1,400원 박스권 갇혀
▶ 다음주 FOMC 관심 모아져

▶ 전문가 환율 전망도 엇갈려
▶ 주재원·유학생 타격 장기화

환율 ‘킹달러’가 뉴노멀… 한인사회 희비 엇갈려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에 육박하는 달러 강세로 고착화되고 있다. 서울 하나은행 딜링룸에 증시와 환율이 전시되고 있다. [연합]

원·달러 환율이 11개월 만에 가장 작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1,400원 돌파를 목전에 둔 흐름을 이어가면서 미주 한인 사회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단기 변동성은 줄었지만, 달러 강세가 장기화되며 사실상 ‘뉴노멀’로 굳어지는 모습이다.

지난주 원·달러 환율은 장중 고점과 저점의 차이가 8.2원에 그치며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좁은 폭을 기록했다. 평균 환율은 1,392원대에서 형성됐고, 장중 한때 1,400원을 위협했지만 끝내 돌파하지는 못했다. 주요국 재정 불안으로 유럽과 일본의 국채 금리가 급등했음에도 원화는 수급 균형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전문가들은 당국의 개입 경계감과 수출업체의 달러 매도 물량, 그리고 결제·투자 수요가 서로 맞물리면서 환율이 1,380원~1,400원 사이 박스권에서 갇혀 있다고 분석한다. 한 환율 전문가는 “달러 강세에도 불구하고 원·달러 환율이 뚜렷한 방향성을 잡지 못하는 것은 수급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 12월 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 등을 거치면서 지난해 말 1,486.7원까지 치솟았다. 올해에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으로 4월 1,487.6원까지 올랐다가 이후 관세 유예와 통상 협의 등을 거치면서 급격하게 1,400원 선 아래로 내려앉았다. 달러 가치는 고점 대비 소폭 하락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지난해 말 108.49로 고점을 찍은 후 지난 7월 말 99.97, 이달 2일 98.40, 이달 8일 97.45로 낮아졌다.

이제 시장의 이목은 오는 16~17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 쏠려 있다. 연방준비제도(FRB·연준)이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경우 달러 강세가 누그러지며 원·달러 환율도 단기 하락세를 보일 수 있다는 전망이다. 다만 근원물가가 여전히 3%대에 머물고 있어 연준이 공격적인 인하에 나서기는 쉽지 않다는 반론도 있다.

한 외환 전문가는 “연준이 0.25%포인트 인하에 그친다면 달러 강세 기조가 유지되며 원·달러 환율은 다시 1,400원대 진입을 시도할 수 있다”며 “다만 0.5%포인트 이상 인하가 이뤄지면 단기적으로 1,370원대까지 환율이 내려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환율 불확실성은 미주 한인 업체와 교민들에게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LA에 거주하는 한 주재원은 “월급을 한화로 받기 때문에 환차손이 한달에만 몇십만원에 달한다”이라며 “환율이 너무 오른 데다 물가도 너무 비싸서 빨리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은 심정”이라고 호소했다.

유학생들도 타격을 받고 있다.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한국에서 송금받는 생활비가 줄어들면서 소비를 크게 줄이고 있으며, 송금을 보내는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한국의 한 학부모는 “자녀 유학비와 생활비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며 “환율이 이대로 가면 송금액을 줄여야 할지 고민”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국을 찾는 미주 한인 여행객들은 킹달러의 직접적인 수혜자다. 강한 달러 덕분에 한국에서 더 많은 소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인 관광업계 관계자는 “환율 강세로 한국 여행을 떠나는 미주 한인들의 소비력이 커져 관련 업계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전했다.

<박홍용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