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SNS 잠그고 ‘일회용’ 휴대폰까지

2025-08-27 (수) 07:14:10
크게 작게

▶ 미국 여행객들 입국 단속 대비, 사진·메시지 외 SNS 앱까지 삭제

▶ 미 여행계획 보류 · 취소도 늘어

“미국에 갈 때는 평소 쓰던 휴대전화 대신 임시 기기를 가져가세요.”
“휴대기기에 있는 자료는 하드디스크로 옮기거나 비밀번호로 보호된 클라우드 계정에 저장한 다음 삭제하세요.”

미국 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에게 변호사와 개인정보 상담사 등 전문가들이 하는 조언이다.
영국의 일간 가디언은 미국 여행객들이 전문가들의 조언에 따라 SNS 계정을 잠그고 사진과 메시지를 삭제하고 있다고 25일 전했다.

여행객들은 스마트폰의 얼굴 인식 기능을 해제하거나 심지어 임시 휴대전화기를 마련하기도 한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입국 단속이 유례없이 늘어나고, 강도도 높아졌기 때문이다.


호주와 캐나다 등 일부 국가는 미국 여행 관련 지침을 변경해 입국 시 전자 기기 검사가 있을 수 있다고 명시하기도 했다.
한국 외교부의 미국 ‘출입국 정보’도 현재 “휴대전화(SNS 내용 확인) 또는 수화물을 검사하는 경우도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실제로 스마트폰 검사를 통과하지 못해 미국 입국이 거부된 사례도 있다. 프랑스의 과학자 필립 밥티스트는 지난 3월 휴대전화 검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비판적인 글이 발견됐다는 이유로 입국을 거부당했다.

미국 여행을 보류하거나 취소하는 여행객들도 늘고 있다.
캐나다의 변호사이자 스토리텔링 공연자인 키스 세리는 원래 올해 뉴욕 프린지 축제에서 공연할 계획이었지만, 축제를 몇 주 앞두고 계획을 취소했다.

성을 밝히지 않은 캐나다인 케이트는 친척 결혼식에 참석하고자 미국에 입국하기 직전 SNS 앱을 삭제했다고 밝혔다.
연방세관국경보호국(CBP)은 최소한의 근거만으로도 입국자의 기기를 검사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기기 검사를 받은 입국자 수는 4만7,000 명으로 전체 여행객 4억2,000만 명의 0.01%에 불과했다. 그러나 올해 3분기에는 데이터 수집이 시작된 2018년 이후 단일 분기 최고의 검색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가디언은 예상했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