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젊은 신장암 환자 늘었다…” 수술로 일부 잘라낼 수 있는지 따져봐야

2025-08-21 (목) 12:00:00 변태섭 기자
크게 작게

▶ 변석수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젊은 신장암 환자 늘었다…” 수술로 일부 잘라낼 수 있는지 따져봐야

13일 경기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만난 변석수 비뇨의학과 교수가 신장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젊은’ 신장암 환자가 늘고 있다. 지난해 국제학술지‘랜싯 공중보건’에 실린 연구결과를 보면, 1990년생의 신장암 발병률이 1955년생보다 2~3배 높았다. 2000~2019년 미국에서 암 진단을 받은 환자 약 2,300만 명을 암종·연령별로 구분해 비교한 결과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13일 경기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만난 변석수 비뇨의학과 교수는 “최근 실제로 젊은 신장암 환자들을 많이 본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가 성장하면서 소아비만 환자가 늘어난 점”을 원인으로 꼽았다. 비만과 흡연, 고혈압은 신장암의 대표적인 위험 요소다.

그는 젊은층 역시 주기적으로 복부 초음파 검사를 받아보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신장암이 초기엔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침묵의 암’인 탓이다. 혈뇨나 옆구리 통증 같은 증상이 나타났다면 통상 3기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신장암은 1기에 발견되면 5년 생존율이 81~97%로 비교적 높은 편이나, 3기로 진단되면 53~63%까지 떨어진다.

변 교수는 “신장암 수술에서 중요한 건 신장 기능을 일부라도 남길 수 있는지 여부”라며 “4㎝ 이하의 작은 종양인데도 한쪽 신장을 잘라내야 한다고 의사가 설명한다면, 부분 절제가 가능한지 의견을 구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종양이 4㎝ 이상이어도 일부만 잘라낼 수 있습니까.

암이 발생한 신장 전체를 잘라내는 수술(근치적 신절제술)은 종양이 크거나 부분 절제가 어려운 위치에 있을 때 해요. 최근엔 신장 기능을 보호하려고 부분 절제를 선호하는데, 종양 크기가 7㎝ 이상인 경우도 부분 절제로 제거한 적이 있습니다. 수술은 까다로운 편이에요.

신장이 피를 걸러주기 때문에 신장으로 들어오는 혈류량이 많은데, 부분 절제술은 피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혈관을 막은 뒤 보통 25~30분 안에 종양을 제거합니다. 피가 오래 공급되지 않으면 신장 자체가 손상될 수 있으니까 시간제한이 있어요. 하지만 신장 기능을 살릴 수 있으니 환자에겐 효과가 크죠. 실제 미국 연구 결과를 보면, 신장 전체와 부분 절제술을 받은 다음 10년 후 사망률을 비교했더니 각각 2.3%와 0.3%였습니다.

-수술은 어떻게 진행됩니까.

수술 방법은 개복, 복강경, 로봇 수술이 다 가능해요. 종양 크기가 4㎝ 이하면 대부분 부분 절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로봇으로 수술합니다. 출혈이 적고 회복이 빨라요. 또 정밀하게 수술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분 절제의 경우 암 덩어리만 제거하고 주변 조직을 살리는 로봇 수술이 표준 치료로 자리 잡았습니다. 우리 병원에서 수술받은 환자 5,000명을 분석해봤는데, 4㎝ 이하의 종양을 수술한 경우 10년 재발률이 2%에 불과할 정도로 예후가 좋습니다.

-건강검진에서 신장에 물혹이 발견된 경우 암이 될 가능성도 있을까요.

물혹은 단순 신낭종과 복잡성 신낭종으로 나누는데, 단순 신낭종은 증상이 별로 없고 신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적어서 치료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낭종(물혹) 안에 석회화가 관찰되는 복잡성 신낭종은 일부 신장암일 가능성이 있어 수술로 제거하는 방안을 생각해야 합니다.


-신장암 진단이 늦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종양이 커질 때까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장이 등 뒤 깊숙이 있어 종양이 자라도 통증 같은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기 어렵기 때문이에요. 건강검진이나 소화기 증상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증상을 느낀 후 진단됐다면 암이 상당히 진행됐다고 봐야 합니다. 그래서 정기적인 건강검진이 중요하고, 특히 흡연과 비만, 고혈압, 가족력 등 위험요인이 있으면 복부 초음파나 컴퓨터단층촬영(CT)을 주기적으로 받는 게 좋습니다.

-신장을 잘라내고 나면 어떤 걸 주의해야 합니까.

남은 신장 기능을 보호하는 게 최우선입니다. 단백질을 과다 섭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해요. 몸 안에 단백질이 많이 들어오면 소화 과정에서 대사 산물이 나오는데, 그게 신장을 통해 배출되거든요. 고기류 같은 단백질을 과하게 먹으면 신장에게 계속 일을 시키는 것이고, 결국 과부하가 걸리면서 신장 기능이 약해질 수 있어요.

<변태섭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