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헤그세스 ‘공동의 위협에 대한 억지력’ 강조…中견제 협력 필요 시사한듯

안규백 韓국방부 장관 [국방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안규백 한국 국방부 장관은 31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과 취임 후 첫 통화를 하고 북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확장억제 협력을 심화하는 한편 조선 등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안 장관은 "국민주권정부의 첫 번째 국방장관으로서 지난 70여년간의 한미동맹 성과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책임감이 크다"며 "한미동맹은 피로 맺어진 동맹으로, 바퀴의 양 축과 같이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헤그세스 장관과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한미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더욱 심화·발전시켜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헤그세스 장관은 대한민국 방위에 대한 미국의 철통같은 공약을 재확인했다고 국방부는 전했다.
양국 국방장관은 북러 간 불법적 군사협력을 포함한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긴밀한 공조를 유지하고 확장억제 협력을 심화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변화하는 역내 안보 환경 속에서 한미동맹을 상호 호혜적으로 현대화하기 위한 협의를 지속하고, 조선·MRO(유지·보수·정비), 첨단과학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동맹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양국 장관은 이번 통화가 서로의 이해 폭을 넓히고 한미동맹을 더욱 심화·발전시켜 나가는 중요한 계기라는 것에 공감했으며, 가능한 이른 시기에 만나 동맹 강화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
미국 국방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헤그세스 장관은 한미동맹의 전략적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 한반도에서 연합 방어 태세가 공동의 위협에 대항한 억지력에 신뢰성 있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협력하고 싶다고 밝혔다.
미측은 국가를 특정하지 않았지만 대중국 억지력 강화를 강조해온 트럼프 행정부의 안보 기조에 비춰 '공동의 위협' 언급은 북한과 중국을 염두에 둔 것으로 해석된다. 즉, 북한 뿐 아니라 중국 견제를 위한 한미동맹의 역할 강화 필요성을 시사한 것으로 읽힌다.
헤그세스 장관은 또 양측간의 긴밀한 협의를 지속할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다가올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 안 장관을 직접 만나길 고대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