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유대혐오 방치 혐의’ 컬럼비아대, 2억 달러대 벌금 내기로

2025-07-23 (수) 07:59:25
크게 작게

▶ 12억 달러대 정부 지원금 재개 조건…트럼프 행정부와 합의

이스라엘계 재학생에 대한 괴롭힘 행위를 방치했다는 혐의를 받은 미국 뉴욕의 명문 컬럼비아대가 천문학적인 벌금을 납부하기로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3일 컬럼비아대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벌금 2억 달러(약 2천738억 원)를 내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와의 합의를 통해 컬럼비아대는 매년 12억 달러(약 1조6천432억 원)가 넘는 연방 보조금을 다시 받을 수 있게 됐다.


또한 컬럼비아대는 교내 유대 혐오 행위를 근절할 조치들을 이행하고, 입학 사정과 채용 과정에서 인종을 고려하는 관행도 중단키로 약속했다.

컬럼비아대는 연방 정부와 공동으로 독립 감시인을 선정한 뒤 6개월마다 합의 이행 진척 상황을 보고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는 컬럼비아대를 상대로 진행했던 6건 이상의 민권법 위반 혐의 조사를 종결하기로 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대학가를 휩쓴 반(反)이스라엘 시위의 진앙으로 꼽혔던 컬럼비아대에 대해 지난 5월 민권법 위반 통보서를 보냈다.

이스라엘계 학생에 대한 괴롭힘을 방치한 것은 '인종, 피부색, 국적 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은 미국의 민권법 위반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대학 측이 캠퍼스 내에 그려진 나치 문양 낙서를 조사하거나 처벌하지 않았고, 시위에 대한 자체 규정도 시행하지 않았다는 것이 당시 정부 조사 내용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대학가의 반이스라엘 시위에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3월 초에는 컬럼비아대가 이스라엘 학생에 대한 괴롭힘을 방치했다면서 4억 달러(약 5천576억원) 규모의 보조금을 취소한 데 이어 복지부와 국립보건원(NIH)의 연구 보조금도 동결하거나 중단했다.

클레어 시프먼 컬럼비아대 총장 직무대행은 트럼프 행정부와의 합의에 대해 "대학의 핵심 가치를 지키면서도 연방 정부와의 본질적인 연구 협력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합의서에는 '컬럼비아대의 학문적 독립성을 유지한다'는 조항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연방 정부가 교수 채용이나 입학 사정, 학문적 표현의 내용에 관여할 권한이 없다'는 내용이 명시됐다는 것이다.

또한 합의서에는 컬럼비아대가 위법 행위를 인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문구도 포함됐다.

컬럼비아대와 트럼프 행정부의 합의는 향후 유사한 사안의 협상 모델로 활용될 전망이다.

컬럼비아대를 포함한 60개 대학에 대해 조사에 착수한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하버드대와도 협상을 진행 중이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