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퀸즈 검찰청에 형사 사건 재수사 요구 온라인 청원 서명운동 펼쳐져

온라인 청원 웹사이트 ‘change.org’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추방 지시로 인해 한국으로 자진 출국한 미군 한인 참전용사 박세준(55)씨 구명을 위한 서명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온라인 청원 웹사이트 ‘change.org’에 ‘박세준을 구하자’(SaveSaeJoon·사진)는 서명운동(change.org/p/savesaejoon-reopen-sae-joon-park-s-case-to-bring-him-home)이 펼쳐지고 있다.
7일 오후 6시 기준 5,718명이 참여한 이 청원은 뉴욕시 퀸즈 검찰청에 박씨의 과거 형사 사건에 대한 재심 및 유죄 판결 취소를 요구하는 내용이다.
7세 때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민 온 박씨는 지난 1989년 미 육군에 입대해 파나마로 파병됐다가 총상을 입고 명예 제대했다. 그 공로로 박씨는 퍼플하트 훈장까지 받았지만, 전투의 상흔으로 인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심하게 앓게 됐고 결국 마약에 의존하는 불행한 상황을 맞았다.
박씨는 뉴욕에서 마약상과 접촉하다 경찰에 체포됐고, 결국 마약 소지 및 보석 조건 불이행 등의 혐의로 기소돼 2009년부터 3년 징역을 살게 됐다. 당시 시민권을 취득하지 않았던 박씨는 출소 후 추방 명령을 받았으나, 매년 이민국 직원에게 확인을 받는 조건으로 미국에 계속 체류할 수 있었다.
수감 생활을 통해 마약에 대한 유혹을 완전히 끊은 박씨는 출소 후 하와이에서 가족들과 함께 새 삶을 살았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후 박씨는 추방을 종용받았고, 결국 지난달 자진해서 미국을 떠나 한국으로 향했다.[본보 6월25일자 A1면 보도]
이에 대해 퍼플하트 훈장까지 받은 미군 참전용사를 추방하는 것은 지나치다는 여론이 일었고, 그를 구명하기 위한 서명운동이 시작된 것. 온라인 청원을 시작한 박씨의 변호사 다니콜 라모스는 “미국에 대한 박씨의 봉사와 희생은 과거의 그 어떤 과오를 뛰어넘는다”며 “박씨가 다시 미국에 돌아올 수 있도록 퀸즈 검찰에 박씨의 형사 사건을 재조사해 파나마 파병으로 인한 PTSD에서 비롯된 마약 소지 및 보석 조건 위반에 대한 유죄 판결을 취소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23일 출국 후 한국에서 생활 중인 박씨는 PTSD가 악화되는 등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NBC방송 보도에 따르면 박씨는 “한국에 도착후 에어비앤비 숙소에 머무르고 있다. 미국에 있는 20대 자녀들과 매일 연락하고 치매 진단을 받은 어머니와도 정기적으로 소통하고 있지만, 서툰 한국어 등의 문제로 일상 생활에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그는 “한국에 있는 친척들이 도움을 주고 싶다는 의사를 전했지만 거의 혼자 시간을 보내고 있다. 추방됐다는 사실을 주변에 알리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라모스 변호사는 “박씨가 여전히 미국에 돌아올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
서한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