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 이외에 日·말레이·남아공·미얀마 등…韓 보낸 서한과 내용 유사
▶ 상호관세 부과 시점 오는 9일→8월 1일로 유예…관세율은 일부 조정
▶ 트럼프 “日, 매우 터프해” 협상 압박…이시바 “동맹이라도 할 말 해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서한 내보이는 레빗 백악관 대변인[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7일 한국에 상호관세율을 25%로 새롭게 책정한 서한을 공개한 데 이어 일본 등 일부 국가에 보낸 관세 서한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줄줄이 공개하며 이들 국가에 관세·비관세 무역장벽을 낮출 것을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올려 공개한, 일본에 보낸 서한에서 8월 1일부터 미국으로 오는 모든 일본 제품에 25%의 관세(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자동차, 철강·알루미늄 등에 이미 부과된 품목별 관세와는 별개라고 트럼프 대통령은 밝혔다.
일본에서 환적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제품에는 더 높은 관세율을 적용할 것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은 밝혔다.
관세율 25%는 당초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에 대해 책정한 상호관세율인 24%에서 1%포인트 올린 것으로, 이날 나란히 서한을 발송한 한국에 대한 관세율과 동일하게 책정한 것이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게 보낸 이 서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대(對)일본 무역적자를 강조하면서, 일본이 이번 관세에 맞서 대미 관세를 올리면 미국도 그만큼 관세율을 더 올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이 무역시장을 열고, 관세와 비관세 장벽 등을 없앨 경우 "이 관세는 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관세는 당신 나라와 우리의 관계에 의거해 상향 또는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말레이시아 등 5개국을 상대로도 유사한 내용의 서한을 SNS에 잇따라 공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서한 공개에 앞서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한일 정상에게 보낸 서한 외에 다른 12개국에 대한 서한을 이날 중 발송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서한에 담긴 내용은 국가명과 각국 정상 이름을 적은 수취인, 일부 관세율 수치를 제외하면 한국을 상대로 보낸 서한과 사실상 동일했다.
관세율은 말레이시아(24→25%)가 최초 발표 대비 소폭 올랐고, 남아프리카공화국(30%)은 동일했으며, 미얀마(44→40%), 라오스(48→40%), 카자흐스탄(27→25%) 등은 하향 조정됐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8월 1일로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이날 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대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2일 책정한 뒤 같은 달 9일 시행에 들어갔으나 곧바로 이를 90일 유예했고, 유예 만료 시점(8일)을 시한으로 삼아 각국과 관세율, 무역균형,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둘러싼 무역 협상을 진행해왔다.
AP 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에 대해 "외국 대표단과의 비공개 관세 협상이 양측 모두에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지 못했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앞서 미국과 일본은 지난달 27일 워싱턴DC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만나 7차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전용기에서 일본에 대해 "우리는 일본을 상대해 왔는데, 나는 합의할지 확신을 못 하겠다. 일본과는 합의할지 의문시된다"라고 말하며 일본을 상대로 압박 수위를 높인 바 있다.
그러면서 "그들은 매우 터프(tough·협상에서 완고함을 의미)하다"며 "그들은 매우 잘못 길들여졌다(spoiled)"고 언급하기도 했다.
미 상무부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과의 무역에서 694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말레이시아(249억 달러), 남아프리카공화국(89억 달러), 카자흐스탄(13억 달러), 라오스(7억6천300만 달러), 미얀마(5억7천700만 달러) 등과도 적자를 보였다.
미국무역대표부(USTR) 부대표 출신인 웬디 커틀러 아시아소사이어티정책연구소(ASPI) 부회장은 이날 언론에 배포한 자료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공개한 서한에 대해 "게임이 끝났다는 의미는 아니다. 우리는 추가 관세 인상이 발효하는 8월 1일까지 진행될 협상에서 돌파구가 생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관측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