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대통령 기자회견, 재외동포 목소리 담아야

2025-07-04 (금) 12:00:00
크게 작게
한국 시간으로 지난 3일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한 달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회견은 과거 대형 언론 중심으로 운영되던 관행에서 벗어나, 지역과 풀뿌리 언론에 폭넓게 질문 기회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 옥천신문을 비롯한 군소 지역 매체 6곳이 화상으로 참여했고, 이 대통령은 그들과도 일문일답을 이어갔다. 주요 일간지·방송사 위주의 일방적 기자회견이 아니라 다양한 목소리가 대통령에게 직접 닿을 수 있도록 배려했다는 점에서 긍정적 평가가 뒤따른다.

기자 회견 내내 이 대통령은 특유의 농담과 유연함으로 긴장을 풀었다. 답하기 곤란한 질문에도 유머를 섞어 진솔하게 응답하며 언론과 국민 앞에 선 대통령의 태도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번 회견에서도 한 가지 아쉬움은 남는다. 바로 전 세계 700만 재외동포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기회가 부재했다는 점이다. 재외동포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재외동포는 181개국, 약 708만 명에 이르고, 그 중 상당수는 대한민국의 정치·경제·문화에 깊은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미주를 비롯해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각지에는 수백여 개의 한인 언론이 현지 동포사회와 본국을 연결하며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해왔다. 이번 기자회견에 지방 언론을 초대해 균형 있는 질문 기회를 보장한 것처럼, 앞으로는 한인 언론에도 문을 열어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당시 “재외동포의 정체성 함양과 민간외교 활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공약했다. 더 나아가 우편투표 도입, 재외투표소 확대 등 재외국민의 참정권 보장을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그러나 정책은 현장 목소리가 반영될 때 비로소 현실성을 갖는다. 한인 2세들을 잠재적 병역기피자로 만드는 선천적 복수국적법의 폐해, 우편투표제 시행 과정의 어려움, 재외국민 보호·영사 서비스 혁신, K-컬처 공공외교 활성화 등 현안에 대한 재외동포 언론의 생생한 질문과 제언이 대통령에게 직접 전달될 필요가 있다.

다음 대통령 기자회견에는 미주 한국일보를 비롯한 재외동포 언론도 초청해 700만 재외동포들의 목소리를 대한민국의 중심에 놓기를 기대한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