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8일 시한 10여일 앞두고 트럼프 최종결정 주목
백악관은 내달 8일까지인 상호관세의 유예 시한을 더 연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26일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상호관세 유예 시한 연장 여부에 대해 질문받자 “아마도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라면서 “그러나 그것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내릴 결정”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9일을 ‘해방의 날’로 명명하면서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하지만 이같은 관세 조치로 증시, 채권시장, 환율시장 등이 요동을 치자 13시간 만에 90일간 유예(중국 제외)하는 결정을 내렸다.
유예 기간은 내달 8일 만료되는데, 이를 뒤로 미룰 가능성이 있음을 백악관이 시사한 것이다.
현재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무역 상대국들과 ▲ 미국산 제품 구매 확대 ▲ 관세 감축 ▲ 비관세 장벽 철폐 ▲ 지재권 보호 강화 등 다양한 압박을 가하며 관세 협상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관세 협상과 관련한 합의가 발표된 나라는 영국뿐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1일 전세계 무역 상대국과의 무역 협상 시한을 연장할 용의가 있지만 기한을 연장하는 것이 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스콧 베선트 연방 재무 장관이 지난 11일 하원 세입 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성실하게 협상하는 국가들, 또는 유럽연합(EU)과 같은 무역 블록에 대해서는 우리가 선의의 협상을 계속하기 위해 (관세 재부과) 날짜를 연기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