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중·EU에 인프라 집중
▶ 나머지 150개 국가 소외
인공지능(AI)이 국가 간 새로운 ‘디지털 격차’를 만들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3일 보도했다.
각국이 AI에 뛰어들면서 전 세계가 최첨단 AI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컴퓨팅 파워를 가진 국가와 그렇지 않은 국가로 나누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격차는 국제 정치와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국가 간 새로운 의존 관계를 만들고 있다고 NYT는 지적했다.
옥스포드대 연구에 따르면 AI 데이터 센터는 미국과 중국, 유럽연합(EU)에 대부분 집중돼 이들 지역에는 전 세계 AI 데이터 센터의 절반 이상이 있다.
전 세계에서 AI에 특화된 대규모 컴퓨팅 시설이 있는 국가는 32개국(약 16%)으로, 이른바 ‘컴퓨트 파워’(compute power)를 보유하고 있다. 반면, 이 시설이 없는 나라는 150개국을 넘는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26개로 가장 많고 중국도 22개의 AI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EU는 28개로, 다른 유럽(8개)까지 합치면 36개에 달한다.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도 인도 5개, 일본 4개를 포함해 25개의 AI 데이터 센터를 보유 중이다.
미국과 중국 등은 자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도 데이터 센터를 운영 중이다.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미국 기업들은 전 세계 총량의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AI 컴퓨팅 허브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아프리카와 남미에 AI 컴퓨팅 허브가 없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 같은 불균형은 AI 데이터 센터가 과거 이메일이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시설보다 규모나 전력 소모도 크고 건설에 수십억 달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핵심 기술인 엔비디아 칩은 비싸고 구하기도 어렵다. 여기에 전력이나 냉각, 숙련 인력 등 막대한 인프라도 요구된다.
NYT는 “미국, 중국 등 기술 강대국은 AI 시스템을 이용해 데이터 분석에서부터 자동화, 신약과 무기 등을 개발하고 있지만, 컴퓨팅 파워가 없는 국가는 과학 연구는 물론, 스타트업 성장과 인재 유지에도 제한받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