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집중분석 - 요동치는 원·달러 환율, 왜] 1,410원대로 급락… “트럼프 정책에 달러 패권 흔들려”

2025-04-18 (금) 12:00:00 박홍용 기자
크게 작게

▶ 1,480원대 고점 ‘롤러코스터’

▶ 경기침체 가능성 급부상에 달러인덱스 올해만 8% 빠져
▶ “관세협상 추이 더 지켜봐야”

[집중분석 - 요동치는 원·달러 환율, 왜] 1,410원대로 급락… “트럼프 정책에 달러 패권 흔들려”

한국시간 1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 원·달러 환율이 1,418원을 가리키고 있다. [연합]

불과 10여일 전만해도 1,480원에 육박했던 원·달러 환율이 1,410원대까지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불을 당긴 무역전쟁으로 미국의 경기침체 가능성이 커지면서 달러화 가치가 하방 압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동맹을 향해 관세폭탄을 전방위로 투하하는 경제정책이 미국이 갖고 있던 신뢰기반을 무너뜨리고 달러 패권에 의문부호를 붙이고 있다는 평가다.

17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올해 들어 달러화 가치가 8% 넘게 급락하면서 40년 만에 최악의 기록을 보이고 있다. 유로화 등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DXY)는 이날 전장 대비 0.07% 내린 99.45를 나타냈다. 이는 2022년 4월 이후 최저치 수준이다. 지난 11일 달러인덱스는 2023년 7월 이후 처음으로 100 이하로 주저앉았다.
[집중분석 - 요동치는 원·달러 환율, 왜] 1,410원대로 급락… “트럼프 정책에 달러 패권 흔들려”

1월1일부터 4월15일까지 달러인덱스 하락률은 7.69%에 달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시장정보 업체 팩트세트 자료를 인용해 “이같은 연중 하락률은 같은 기간 기준으로 1995년(-7.88%) 이래 최악”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엔-달러 환율은 142.63엔을 나타내고 있다. 엔-달러 환율이 142엔 안팎을 기록하고 있는 것은 지난해 9월 이후 처음이다. 달러화 대비 유로화 가치는 유로당 1.14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2022년 4월 이후 최고치다.

달러화 가치의 분위기가 이토록 급반전된 이유는 무엇일까. 며칠 전까지만 해도 원·달러 환율은 1,500원을 돌파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쇄도했다. 전문가들은 달러화 가치 하락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로 인한 정책 불확실성으로 안전자산으로서의 신뢰를 상실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모건 스탠리의 글로벌 외환 및 신흥 시장 전략 책임자인 제임스 로드는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은 미국 경제 전망에 대한 신뢰 상실, 즉 미국 정책 전망에 대한 엄청난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지난 10년간 미국 자본 시장으로 대규모 자금이 유입됐었는데, 현재 투자자들은 다른 투자 대상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금에 자금이 쏠리면서 금값은 전날 기준 온스당 3,300달러를 사상 처음으로 돌파했다. 맥쿼리그룹의 글로벌 외환 및 금리 전략가인 티에리 위즈먼은 “정책 입안자들이 국제 금융 시스템을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과거 금융 위기와는 달리 (현 정부의) 접근 방식은 비외교적이고 갑작스러운 방식으로 시스템을 해체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미국 정부와 소비자의 차입 비용 상승을 포함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아직 달러의 지배력과 패권이 사라진 것은 아니라며 시장 불확실성이 큰 만큼 미국과 개별국과의 관세 협상타결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강조한다. 대체 통화로 부상하고 있는 유로화는 유럽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서로 상이함에 따라 확장성에 한계가 있고, 위안화 역시 중국 당국의 강력한 통제를 받고 있기 때문에 달러 결제 시스템에 정면 도전하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의 재무학 조교수인 스테판 르웰런은 “아직 달러에 사망 선고를 할 때가 아니다”라며 “유로화는 주도권을 잡을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전직 연방 재무부 고위 관리인 마크 소벨은 “달러의 지배력이 사라지거나 달러가 세계적 지위를 잃었다고 말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며 “대체 수단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홍용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