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U무역수장, 4일 美카운터파트 화상통화 예정
미국의 관세로 직격탄을 맞게 된 유럽연합(EU)이 3일(현지시간) 미국과 협상에 주력하되 강력한 보복 카드도 마련해두겠다고 밝혔다.
EU 집행위원회 고위 당국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일련의 새 관세 부과로 미국이 EU산 제품에 부과할 추가 관세는 약 800억 유로(129조원)에 달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관세 시행 전 EU산 제품에 부과되는 관세가 약 70억 유로(11조원)였던 만큼 10배가량 늘어나는 셈이다.
이 당국자는 단순 추정치라고 전제한 뒤 "이미 발효된 미국의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및 자동차 부문에 대한 25% 관세에 전날 발표된 EU산 상품에 대한 20% 상호관세까지 시행되면 전체 대미 수출의 70%가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세가 적용되는 상품의 액수는 총 3천800억 유로(약 615조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2천900억 유로(약 470조원)가 상호관세로 인한 것이며,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 관세로 각각 670억 유로(약 109조원), 260억 유로(약 42조원) 규모 상품이 영향을 받는다는 설명이다.
집행위는 그러나 협상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즉각적으로 맞불 조처에 나선다면 역내 경제에 더 큰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일부 EU 회원국의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집행위원은 4일 미국 카운터파트와 화상 통화를 할 예정이다. 그는 이미 두 차례 방미해 협상을 시도했으나 빈손으로 돌아왔다.
실제로 집행위는 협상 불발에도 대비 중이다.
집행위는 우선 오는 9일 260억 유로(약 42조원) 상당 미국산 상품에 최대 50%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복관세 패키지를 회원국 표결에 부친 뒤 15일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이 조치는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대응하기 위해 지난달 마련됐으나 협상 시간 확보를 이유로 이미 한 차례 연기된 바 있다.
협상 불발로 오는 15일부터 보복관세 패키지가 시행되더라도 일부 품목의 경우 실제 관세 징수는 내달 15일부터 이뤄진다고 집행위 당국자는 이날 설명했다. 마찬가지로 협상 여지를 남겨두려는 것이다.
자동차와 상호관세에 대한 대응 조치는 한층 더 광범위하게 검토될 예정이다. 특히 미국의 서비스·디지털 부문을 겨냥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에 대해 집행위 당국자는 "모든 옵션이 고려 대상"이라면서도 '협상 모드'라며 구체적인 구상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그는 "'보복'이라고 할만한 조처를 통해 미국과 협상을 촉진하려 한다"며 "보복은 최종 목표가 아닌 (협상) 수단"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