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내각은 충성파·사법부도 보수 우위… 브레이크가 없다

2025-01-21 (화) 12:00:00
크게 작게

▶ 트럼프 취임… 2기 독주체체 구축

▶ ‘충성심’ 기준으로 ‘예스맨’ 인선
▶ 1기 때와 달리 ‘어른의 축’ 부재
▶ 견제 사라져 법안 속전속결 예고

20일 취임식과 함게 공식 출범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잦은 인사 교체로 좌충우돌하던 1기와 달리 출발부터 안정적인 행보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전문성이나 도덕성 등 자질 검증보다는 ‘충성파’를 중심으로 조기에 내각을 구성해 트럼프 당선인의 국정운영 기조를 추진할 동력을 확보해서다.

트럼프 당선인의 2기 내각 후보자를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는 ‘마가 전사’와 ‘충성파’다. 이는 미국 우선주의를 비롯한 트럼피즘(Trumpism)을 추종하는 동시에 트럼프 당선인에게 절대적으로 충성할 수 있는 사람들로만 뽑았다는 의미다.

내각 및 백악관 참모들의 구체적인 배경은 트럼프 당선인의 거주지인 플로리다주 출신, 미국의 대표적 보수 성향 방송인 폭스뉴스 출신, 트럼프 당선인과 같은 기업가 출신, 1기 참모 가운데 충성도가 검증된 인사 등으로 크게 나뉜다. 트럼프 당선인이 자신의 정치적 생활 반경에 있는 사람 가운데서 발탁했다는 뜻이다.


플로리다파 중에는 ▲국무부 장관 후보자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공화·플로리다) ▲법무부 장관 후보자 팸 본디 전 플로리다주 법무부 장관 ▲국가안보보좌관 지명자 마이크 월츠 하원의원(공화·플로리다) ▲백악관 비서실장 지명자 수지 와일스 등이 있다.

또 ▲국방부 장관 후보자 피트 헤그세스를 비롯해 ▲교통부 장관 후보자 숀 더피 ▲국가정보국(DNI) 국장 후보자 털시 개버드 ▲주이스라엘 지명자 마이크 허커비 등은 폭스뉴스에서 진행자 혹은 패널 등으로 활동했다.

트럼프 2기의 주요 보직에는 트럼프 측의 신 실세로 ‘정부효율부’ 공동 수장에 지명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막대한 부를 가진 기업가 출신도 적지 않다. 재무부 장관 후보자인 ▲스콧 베센트 헤지펀드 키스퀘어그룹 창업자를 비롯해 ▲상무부 장관 후보자인 하워드 러트닉 투자은행 캔터 피츠제럴드 CEO ▲에너지부 장관 후보자 크리스 라이트 리버티에너지 설립자 겸 CEO ▲항공우주국(NASA) 국장 후보자 재러드 아이작먼 등도 기업가 출신이다.

1기인 2016년 당시 트럼프 당선인은 공화당의 검증된 보수 인사들로 내각을 꾸렸으나 임기 내내 구성원들과 격한 갈등을 겪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의 핵심 참모 교체 비율은 역대 정부 가운데 가장 높은 기록을 세웠고 군사·외교 등 주요 분야에서 미국을 이끌고 갈 뚜렷한 의제를 설정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그러나 재집권에 성공한 트럼프 당선인은 공화당이 상·하원 다수당을 차지한 가운데 집권 초기부터 행정명령 등을 통해 ‘미국 우선주의’로 중무장한 각종 법안을 속전속결로 처리하는 광폭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당선인의 충동적 결정에 제동을 걸 장치가 사라졌다는 것은 1기 때와 비교해 가장 달라진 점이다. 집권 1기 때는 존 켈리 비서실장, 짐 매티스 국방장관, 헨리 맥매스터 안보보좌관 등 이른바 ‘어른들의 축(axis of adults)’으로 불리는 보수 인사들이 포진해 그의 돌발 행동을 제어했지만 충성파로 구성된 2기 행정부에서는 이런 인물을 찾아보기 어렵다.

아울러 상·하원은 물론 사법 권력까지도 트럼프 측으로 기울어 있는 만큼 트럼프의 독주를 막을 장치가 마땅하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1기 행정부 시절에는 진보 우위인 연방 대법원이 상·하원을 장악한 공화당을 견제했으나 이번에는 사정이 다르다. 대법관 9명 중 6명이 보수 성향으로 구성된 사법부는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에 제동을 걸 가능성이 낮아졌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