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이런 사람’이 더 많이 걸려
2024-04-09 (화)
권대익 의학전문 기자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일수록 협심증·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혈관 질환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망 원인 1위, 국내 사망 원인 2위를 차지할 만큼 예후(치료 경과)가 좋지 않다.
고령화가 가속되면서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고, 사회경제적 비용도 늘어나고 있다.
고혈압·이상지질혈증·당뇨병·초기 관상동맥 질환 가족력·흡연 등이 주원인이며, 최근에는 사회경제적 지위도 심혈관 질환 원인으로 밝혀졌다.
김학령·임우현 서울시 보라매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정재훈 동국대 일산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연구팀은 2008~2020년 침습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받은 관상동맥 질환 의심 환자 9,530명의 데이터를 활용해 사회경제적 지위가 관상동맥 질환 유병률과 심혈관 사건(사망, 심근경색, 관상동맥 시술·수술, 뇌졸중 등)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환자들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의료 급여 환자군(1436명)’과 상대적으로 높은 ‘건강보험 환자군(8094명)’으로 분류됐다. 의료 급여 환자군은 건강보험 환자군보다 나이가 많았으며, 고혈압·당뇨병·흡연 등 심혈관계 위험 인자도 더 많았고, 심부전(心不全·heart failure) 병력도 더 흔했다.
연구 결과, 전체 환자 중 64%가 침습적 관상동맥 조영술 검사에서 관상동맥 질환 진단을 받았다.
유병률 자체는 두 그룹이 각각 62.8%, 64.2%로 비슷했지만 관상동맥 조영술 이후 평균 3.5년 간 복합 심혈관 사건 발생률은 의료 급여 환자군이 20.2%로 건강보험 환자군(16.2%)보다 28%가량 높았다. 여러 임상적 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 여부와 상관없이 의료 급여 환자라는 것 자체가 심혈관 사건 발생 위험도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
권대익 의학전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