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석엔 실제로 평소보다 큰 보름달, 슈퍼문을 볼 수 있었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울 때를 말하는 슈퍼문은 달이 지구에서 가장 멀고 작을 때보다 최대 30% 더 밝다고 한다.
달 밝은 밤에 새 주택단지를 운전하는데 회전 교차로를 많이 접하게 되었다. 동그란 모양의 회전 교차로는 신호등이 없고 중앙에 원형 구조물이 있다. 회전 교차로 진입 구에 양보선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하는 차량에 통행우선권이 주어진다. 서행하면서 양보와 배려를 하면 신호등 없이도 통행이 매우 원할 한 좋은 교통체계이다.
우리 몸에도 회전 교차로가 있는 데, 대표적인 곳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구조이다. 목의 양 옆으로 심장에서 뇌로 올라가는 경동맥과 목 뒤 부분에서 뇌로 올라가는 척추동맥의 줄기가 뇌의 바닥 면에서 고리모양으로 서로 연결되어 대뇌동맥고리(윌리스 서클, circle of Willis)를 형성한다. 대뇌동맥고리에서 각 방향으로 혈관들이 갈라져서 뇌의 전체로 혈관이 퍼져 나간다. 회전교차로에서 사방으로 길이 퍼지는 모습이다. 교통의 원할 함도 중요하지만 대뇌동맥고리는 뇌혈관 중 한곳이 막히면 반대쪽 다른 혈관을 통해 뇌로 혈액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는 의미가 더 크다. 뇌는 단 몇 분이라도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뇌경색이 오는데 한쪽이 막힐 때 윌리스 서클 혈관 시스템을 통하여 서로 상호보완관계로 뇌의 상태를 보존시켜 준다.
뇌의 밑 부분을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려 보면서 그려진 윌리스 서클 혈관 모양을 보고 있으면 마치 몇 사람이 서로 손을 잡고 있는 듯하다. 덧붙여 그 원을 따라 혈액이 돌고 있음을 상상해보면 마치 여러 명이 손에 손을 맞잡고 달 밝은 밤에 둥근 원을 만들어 장단에 맞춰 도는 강강술래가 연상된다.
강강술래는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와 섬 지방에 전래되어 오던 것으로, 주로 추석날 밤에 부녀자들이 서로 손을 잡고 ‘강강술래’라는 후렴이 있는 노래를 부르면서 원을 그리며 노는 민속놀이인데 달 밝은 밤이면 수시로 했다고 한다.
풍작과 풍요를 기원하며 밝은 보름달이 뜬 밤에 수십 명의 마을 처녀들이 모여서 손을 맞잡아 둥그렇게 원을 만들어 돌며, 한 사람이 ‘강강술래’의 앞부분을 선창(先唱)하면 뒷소리를 하는 여러 사람이 이어받아 노래를 불렀다. 거듭 반복되는 ‘강강술래’라는 후렴구에서 이름이 유래했지만 그 정확한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함께 노래하며 춤추는 가운데 협동심·평등·우정의 교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앞소리를 하는 사람의 소리 빠르기에 따라 음악의 속도가 달라지고 춤추는 사람들의 동작도 음악의 빠르기에 따라 달라진다. 춤이 진행되는 막간에는 농촌이나 어촌의 생활을 표현한 놀이가 진행된다. 이들 놀이 가운데, 남생이놀이(한 사람이 원 안으로 들어가 춤을 추면 그 다음 사람도 들어가 앞사람의 흉내를 낸다) 는 요즘 결혼식에서도 본적이 있다.
한국의 전통 사회는 남성 중심이었으며, 젊은 여성들은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밤에 외출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지만 추석이 되면 여성들도 밝은 달밤에 강강술래를 통해 자유롭게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면서 여성이 평소의 제약을 벗어나 그 분위기를 즐길 수 있었다.
1592년 이순신 장군은 여자들에게 밤에 모닥불을 가운데 두고 강강술래를 하도록 했고 멀리서 보았을 때 깜박거리는 그림자 때문에 일본의 왜군은 이순신 장군의 병력을 두려워했다. 가사 속에는 사회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기도 하였는데, 대뇌동맥고리(윌리스 서클), 강강술래 모두 협동과 상호 보완으로 같이 살아가는 지혜를 보여준다.
<
김홍식 내과의사·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