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명 커미셔너안 마련
▶ 시의회 거쳐 주민투표
LA 시정부 개혁의 일환으로 추진됐던 독립적인 선거구 재조정 위원회 구성이 첫 관문을 통과하며 가시화되고 있다. 다만, 이와 함께 추진되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시의원 의석수 확대안은 또 다시 미뤄졌다.
지난 5일 LA 시의회 산하 정부개혁특별위원회(Ad-hoc Committee on Governance Reform)는 정치인들이 임명에 관여하지 않는 독립적 선거구 재조정위원회 구성안을 찬성 6, 반대 0으로 통과시켰다. 시의회 전체 표결에서도 큰 변경 없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은데, 그렇게 되면 이 방안은 내년 11월 선거에서 주민발의안 행태로 찬반투표에 부쳐지게 된다.
10년마다 한 번씩 이뤄지는 선거구 재조정을 담당하는 선거구 재조정 위원회는 그동안 LA시의 시의원 15명, 시장, 시 검사장, 시 회계감사관 등이 지명해 인준절차를 거친 총 21명의 커미셔너로 구성돼 왔다. 시의원 및 현직 정치인들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지적이 만연했는데, 지난해 한 녹취록을 통해 선거구 재조정에서 일부 시의원들이 실제로 정치적 이득을 위해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이번에 정부개혁특별위원회가 채택한 방식은 17명의 정식 커미셔너와 8명의 임시 커미셔너를 공개 지원받아 선발을 통해 뽑는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여기에는 거주지, 선거 활동, 과거 경력 등 다양한 지원 자격 조건이 걸려 있다. 지원 접수는 시 서기실이, 선발 과정은 시 윤리위원회가 관할할 예정이며 선발 과정에 대중의 의견수렴 및 공개심사 절차도 포함된다. 또 지리적, 인종적, 연령 등 다양성도 고려하게 된다. 임시 커미셔너는 정식 커미셔너 자리가 자격 상실 등으로 비워졌을 때 채우는 자리로 전해졌다.
독립적 선거구 재조정위원회 구성은 과거 한인타운이 4개로 쪼개지는 불이익을 얻었던 한인사회와 같이 소수계 또는 상대적 약자 커뮤니티에 더욱 희소식이라고 한 관계자는 평가했다.
그러나 이날 정부개혁특별위원회 회의에서 시의원 의석수 확대 규모의 경우 아직 의견이 좁혀지지 않은 가운데 의견수렴, 분석,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일부 위원들의 의견을 위원장이 받아들여 결정이 연기됐다.
<
한형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