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미 우주군사령부 이전까지 뒤엎은 ‘임신중지 갈등’

2023-08-02 (수) 12:00:00
크게 작게

▶ 바이든, 앨라배마 이전 계획 백지화

▶ 여군 임신중지 지원 중단 요구 계기…“공화당에 정치적 보복” 거센 공방

우주군과 임신중지(낙태). 언뜻 동떨어져 보이지만 현재 미국에서 함께 묶여 정쟁의 복판에 놓인 두 단어다. 우주군사령부 본부를 앨라배마주(州)로 옮기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결정을 조 바이든 대통령이 백지화하자 일부 공화당 의원이 임신중지 정책 반대에 대한 정치적 보복 아니냐고 반발하며 이런 특이한 조합이 만들어졌다.

지난달 31일 AP통신에 따르면, 최근 바이든 대통령은 미 우주군사령부를 현 위치인 콜로라도주 스프링스에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지금 사령부를 옮기면 군사 준비 태세가 2030년대 중반까지 줄곧 뒤처진 상태로 남을 수 있다는 제임스 디킨슨 우주사령관의 우려를 바이든 대통령이 수용한 결과라는 게 행정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우주군은 트럼프 행정부가 2019년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해안경비대에 이어 창설한 6번째 군이다. 위성 방어 등 해발 100㎞ 이상에서의 미군 작전을 담당한다. 일단 콜로라도 스프링스에 임시로 사령부를 뒀다가 트럼프 전 대통령이 퇴임 직전 부랴부랴 앨라배마 헌츠빌로 위치를 이전하겠다고 발표했다.


문제는 바이든 대통령의 번복으로 콜로라도와 앨라배마의 희비가 엇갈렸다는 사실이다. 앨라배마로서는 1,400개의 일자리와 10억 달러(약 1조3,000억 원)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날아간 셈이다. 콜로라도는 민주당, 앨라배마는 공화당 성향이 강한 주다.

공화당은 발끈했다. 이번 결정이 “정치적 조치”라며 임신중지 정책에 대한 양당의 입장 차이를 배경으로 지목했다. 최근 ‘군인 임신중지 지원 정책’ 중단을 요구하고 나선 공화당과 민주당 정부 간 대립이 격화하자 바이든 대통령이 이에 불만을 품고 이전 방침을 뒤집었다는 것이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