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이제부터 ‘서민 세상’으로

2023-01-23 (월) 정기용 / 전 한민신보 발행인
크게 작게
올해의 사자성어를 묻는다면 서슴지 않고 ‘서민세상’이라고 대답하겠다.

‘서민(庶民)’이라면 으레 빈민, 천민을 연상하지만 그런 인식은 편견이다. 서민이란 단어를 계급주의적 관념으로 부유층, 권력층, 특수층들이 자신들의 신분을 과시하게 위해 규정해온 것이 고정관념화 되었을 뿐이다.

논어에 ‘공경대부이지사서인(公卿大夫而至士庶人)’이라는 경구가 있다. 고작대작부터 선비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서민이라는 말이다. 그 어느 누구도 직분이나 직위를 내려놓고 본래의 자리로 돌아오면 평범한 서민일 뿐이다. 평균 76%의 한국의 국민이 자신들을 서민이라고 생각한다는 통계도 있다. 노무현 후보가 ‘사람 사는 세상’ 기치를 내걸자 고위층 출신 이회창 후보까지 나도 ‘서민’이라며 덩달아 자전거를 타고 다니며 선거운동을 하는 해프닝도 있었다.


필자가 ‘한국서민연합회’를 창립, 출범시킨 것은 1990년이었고 2006년까지 16년간 회장직을 맡아 이끌었다. 우리 근대 역사에 ‘서민’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최초의 시민단체였다. 창립 취지는 서민 본래의 사회적 지위를 회복하고 멸시, 천대, 편견, 악습을 퇴출하자는 캠페인이었다. 한국서민연합회 발기 취지에 많은 언론들이 호응,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그 이후 사회의 서민에 대한 인식도 많이 바뀌고 이제는 힘들게 일하는 직장인들에 대한 호칭도 많이 향상되었다. 환경미화원(청소부), 운전기사(운전수), 구두미화원(구두닦이), 간호사(간호원) 등등 힘든 직업에 종사하는 직장인들에 대한 존중 심리도 사회 전반에 뿌리내리고 있다. 최근에 와서는 상류사회 인사들, 특히 정치인들이 버릇처럼 서민사랑이니 서민을 위한 정책을 운운하며 외치는 분위기다. 그러나 지난 한 해를 반추해보면 역시 우리 서민들이 지도층, 상류층 기득권자로부터 철저히 농락, 배신당하고 속아왔음이 한눈에 보인다.

경제 혼란 무질서로 인해 서민들 수천수만이 전셋집, 전 재산을 몽땅 날리고도 하소연할 길이 없어 울부짖고 있다. 여야 정치판에 패권다툼은 이성을 잃은 감정대립, 극한투쟁만 이어지고 있다. 총칼만 들지 않았지 죽고 죽이기 일보 직전의 양상이다. 국민의 혈세를 받아먹고 사는 공인들이 이따위 형태로 나라를 이끄는 사이 일반 서민 대중은 혼란에 빠져들 수밖에 없다.

더 큰 죄악은, 논리도 어설프고 알맹이도 없는 보수·진보를 내건 패거리 싸움에 순진한 국민을 유혹하여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는 바람에 분열의 골이 점점 더 깊어가고 있는 것이다.

선진국의 기준이 뭔가. 서민대중이 인권을 보장받고 경제적으로 안락한 생활을 국가가 책임지는 나라가 선진국이다. 동시에 서민 스스로도 자신이 나라를 이끌고 가는 당당한 일원이라는 주권의식을 가져야 한다. 나라는 고위층, 부유층이 이끌고 가는 것이 아니다. 서민 대중이 세금을 내고, 군대 가고, 학교 문 열고, 상점을 운영하고, 환경을 미화하고 그래서 나라가 유지되는 것이다. 대통령이니 국회의원이니 없어도 나라는 존재할 수 있지만 서민 대중이 없으면 나라가 존재할 수 없다.

함석헌 선생도 “깨어있는 백성이라야 나라가 산다”고 강조했다. 고위층이나 자본가들이 서민들에게 감사하고 공손해야하는데 우리 사회는 거꾸로 가고 있다. 벼슬아치 앞에서 굽신거리고 완장하나 채워주면 같은 서민끼리 무시하는 비굴한 태도는 밟아버려야 한다.

모두가 다 같은 서민들이다. 민족 대단결 통일 그리고 화합·협치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 ‘서민 제일주의(서민 민주주의)’, ‘서민세상’을 화두로 뽑았다.

<정기용 / 전 한민신보 발행인>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