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나의 첫 칼럼 제목이 ‘새해 다짐’이었다. 검은 호랑이(흑호)의 해를 맞아 했던 다짐이 삶의 우선순위에 오랫동안 연락이 두절된 친구들을 찾아보는 노력을 포함해야겠다는 것이었다. 돌이켜 보면서 작년에 그 노력을 얼마만큼이나 했나 곰곰이 생각해본다.
그래도 팬데믹을 벗어나면서 고국 방문을 할 수 있어 몇 년 만에 옛 친구들을 찾아볼 수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미국 내에서도 수십년 동안 연락을 못 했던 친구나 은인을 찾기도 했다.
흑호의 해를 지나고 나니 찾아 온 게 흑토끼(계묘)의 해다. 그리고 새해에는 정말 어떤 다짐을 해야 하나 고심 중이다. 그러면서 지난 연말에 미국인 교육자 한 명과 대화를 하며 자조 섞인 말들을 했던 게 떠올랐다. 그 교육자는 지금은 페어팩스 카운티 교육청으로부터 은퇴했지만 과거에 여러 해 동안 나와 중요한 교육정책들을 논의했었다. 내가 여러가지 교육 현안을 놓고 고민하던 모습도 가까이에서 보았던 사람이다.
그에게 내가 이렇게 얘기했다. “2019년 말 내가 교육위원회에서 은퇴하기까지 로컬정부 차원이지만 25년 간 겸직 공직생활을 하는 동안 나는 너무 조심스럽게 발언했던 것 같다. 자제하지 말고 마음에 있는 말 다 하고 감정도 솔직하게 드러냈어야 했나보다. 그랬다면 25년이 지난 후의 결과가 지금보다 조금 더 만족스러웠을지 모르는데 말이다. 자못 후회가 된다.”
그 교육자는 내가 무슨 얘기를 하는지 잘 이해하는 듯했다. 내 말이 페어팩스에서 소수인종 커뮤니티에 대한 정책적 배려를 논의할 때 왜 중요한 대화 파트너로 한인이나 아시안 커뮤니티가 우선적으로 등장하지 않느냐는 푸념 중 나왔기 때문이다. “언제 우리가 흑인 커뮤니티를 대변하는 NAACP를 빼놓은 적이 있느냐. 그런데 흑인보다 훨씬 더 인구 비율이 높은 아시안이나 히스패닉 커뮤니티는 겨우 마지못해 끼워지거나 아예 고려 대상이 되지 않지 않느냐.”
20년 이상 교육위원으로 있으면서 내가 누누이 강조해왔던 것 중 하나가 아시아계 고위직 교육공무원 배출에 있어서의 공정성이었다. 학생 가운데 20% 정도가 아시안이라면, 우리가 그 비율에 맞추어 할당제를 도입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고위 교육 공직자 자리에는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아시안이 있어야한다고 주장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앞으로 갈 길이 먼 상태임을 볼 때 내가 화도 내고 목소리도 좀 더 높여 주장했어야했던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떨칠 수가 없다. 그랬다면 지금보다 좀 더 많은 숫자의 교장, 교감도 배출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교육장이나 교육청 국장급들도 나올 수 있지 않았겠나 자문해본다.
내 얘기를 듣던 미국인 교육자는, 내가 그랬다고 뭐가 달라졌을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으며, 오히려 그랬었다면 교육감을 위시해 다른 고위 실무자들로부터 제대로 존경을 받지 못하고 내 말을 듣는 척은 했을지 몰라도 효과적이지는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평소 회의석상에서 그렇게 소리를 높였던 교육위원들이 거둔 게 무엇이냐고 반문하는 것이었다. 그런 교육위원들의 태도를 동료 위원들이 호의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지 않았느냐고 묻기도 했다.
이러한 대화를 기억하며 새해의 다짐으로 후회할 일을 줄이는 것에 초점을 맞추면 어떨까 고민하고 있다. 너무 여러가지로 조심스럽게 살펴보기만 하면서 실천에 옮기는 것에 주저하지 말아야겠다. 먼저 연락해야할 곳도 하고, 너무 주변의 시선을 의식해서 하고 싶은 것도 못하고 그러지 말아야겠다.
<
문일룡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