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백남준 탄생’ 90주년…연중 행사, K아트 원조 권진규 100주년전도

2022-01-07 (금) 12:00:00 조상인 미술전문 기자
크게 작게

▶ 2022년 미술계는

‘백남준 탄생’ 90주년…연중 행사, K아트 원조 권진규 100주년전도

백남준의 최대 규모 유작인 ‘다다익선’이 모니터 노후화로 꺼진 지 5년 만에 복원을 끝내고, 탄생 90주년인 올해 11월에 재가동 된다. [사진제공=국립현대미술관]

‘백남준 탄생’ 90주년…연중 행사, K아트 원조 권진규 100주년전도

권진규 자소상. [서울시립미술관 사진제공]


2022년은 ‘K아트’가 한류의 한 축으로 도약하는, 한국미술 세계화의 원년이 될 듯하다. 백남준·권진규 등 일찍이 국제 무대에서 한국의 자부심을 드러낸 거장을 다시 보는가 하면, 히토 슈타이얼·장 미셸 오토니엘 등 세계적 작가들이 국내 공립미술관에서 첫 개인전을 연다. 한국 근대미술의 미국 전시와 세계 최정상 아트페어인 프리즈(Frieze)의 서울 개최를 계기로 세계 미술계가 어느 때보다 한국을 주목할 해이기도 하다.

백남준(1932~2006) 탄생 90주년인 올해는 연중 그의 이름을 들을 수 있을 듯하다. 6일 공식 개관하는 울산시립미술관은 제1호 소장품으로 구입한 백남준의 1993년작 ‘거북’을 비롯한 미디어아트로 개관전을 꾸렸다.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는 백남준의 영상 작업을 언제 어디서든 관람·연구할 수 있는 온라인 스트리밍 시스템 ‘백남준의 비디오 서재’를 구축해 곧 공개하는 한편, 백남준 탄생 90년 전시와 프로그램을 내내 선보인다. 10월에는 대전시립미술관이 공들여 만든 ‘개방형 수장고’를 개관, 대표 소장품이자 1993년 대전엑스포에 전시됐던 ‘프랙탈 거북선’을 복원해 전용전시관에서 선보인다. 11월 즈음엔 지난 2018년 2월부터 모니터 노후화로 꺼졌던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영구소장품 ‘다다익선’이 오랜 복원작업 끝에 재가동될 예정이다. 미술관은 이에 맞춰 백남준과 1990년대 한국 현대미술의 영향관계를 조망한 전시 ‘백남준 효과’를 기획 중이다.

권진규(1922~1973)는 일본의 예술 명문 무사시노대학이 역대 졸업생 중 최고 작가를 꼽는 설문에서 1위를 차지한 ‘일본 내 K아트’의 원조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오는 3월 한국 근대 조각의 선구자 권진규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한 대규모 회고전을 연다. 미술관이 지난해 7월 작가 유족으로부터 기증받은 작품들로 이뤄낸 전시다. 이어 7월에는 광주시립미술관도 권진규 탄생 100주년 전시를 개막한다.

<조상인 미술전문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