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역사의 흐름인가

2021-10-29 (금) 이영묵 버지니아
크게 작게
지난 10월 중순 ‘개화기의 선각자들의 행적’이란 강의를 아주 흥미롭게 들었다. 강의 중에 고무신이 1915년에 보급되기 시작하였다는 말을 듣고 꽤나 충격을 받았다. 사실 내 세대 사람들은 4.19 의거의 시발이 부정선거이고, 부정선거는 바로 매표이며, 매표의 상징은 고무신이어서, 고무신 하면 가난하고 무지한 사람들이 고무신 한 켤레에 매수당하며 투표를 했다는 생각으로만 연결 지어졌었다.

그러나 강사의 설명인즉 고무신의 보급으로 비가 오는 날에도 외출이 가능했고, 십리, 이십리도 쉽게 나설 수 있어 사람들이 세상을 좀 더 넓게 볼 수 있게 돼 개화기를 맞이하는 마음의 준비에 한 역할을 했다는 말에 새삼 무릎을 쳤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기차, 자동차, 전화, 비행기 정도가 아니라 인터넷, 휴대전화 등의 등장으로 세상은 숨 쉴 사이도 없이 인식의 변화랄까 사물을 보는 마음의 변화를 가져왔다. 한국에서 들려오는 요즈음 추세, 특히 젊은 사람들의 변화를 나의 완만한 속도로 변화에 적응하는 눈으로 보자니 아주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 같아 걱정스럽다. 대장동이니 뭐니 사기집단 같은 화천대유인가 하는 집단이 1조6,000억 원 이상을 해먹어도 불법이니 어쩌니 하기보다 그놈들 참 놀랍다, 잘 해먹는구나, 참 부럽다 하는 사람들이 꽤나 있는 것 같아 이해도 안 되고 걱정스럽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은 언제나 영화가 대변한다. 박근혜 대통령 시절인 2014년 ‘국제시장’이란 영화가 나와 최고의 흥행으로 국민들의 인기를 끌었다. 그 영화가 나온 지 7년 조금 못되어 ‘오징어게임’이란 드라마가 나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긍정적인 모습으로 세계인으로부터 환호를 받고 있는 것이냐 아니면 나쁜 이미지를 주는 것이냐, 생각하면 마음이 좀 어둡다.

2차 대전 후 프랑스에서 소위 느와르 영화가 만개했었다. 장 가방, 알랭 들롱 같은 걸출한 배우들이 출연한 ‘현금에 손대지 마라’ ‘암흑가의 두 사람’ 같은 영화가 만들어졌고, 나 또한 느와르 장르에 매료되어 워싱턴 뒷골목을 중심으로 ‘워싱턴의 달동네’ 등 소설을 출간한 바 있다. 영화건 소설이건 어디까지나 휴머니즘, 인간의 존재를 위한 기본적 윤리의 범주를 벗어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시대가 변했나? ‘오징어게임’은 그렇지 않다. 마음이 편하지 않은 것은 이 영화에 환호하는 사람도 많고 심지어 노벨상을 받아야 한다는 사람도 있다는 사실이다.

1938년 중일전쟁 중 남경대학살이 있었다. 당시 일본 장교들이 누가 빨리 사람들 목을 더 많이 베느냐 내기를 하며 일본도로 마치 허수아비 목을 베듯 하는 장면이 세계를 놀라게 했고 특히 한국인들의 공분을 샀다. 70년이 지난 오늘 ‘오징어게임’에서 이러한 장면에 그저 재미있다고 하는 것 아닌가 싶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가 오늘 사회의 흐름인가? 그대로 흐름이라 여기고 묵과할 것인가? 아니다. 바람직하지 않은 세상으로 흘러서는 안 된다. 또 세상을 냉소적으로 보아서도 안 된다.

한국의 집권층 특히 586세대를 흘겨본다고 할지 모르겠으나 현 집권층의 최대의 잘못은 ‘오징어게임’ 같은 드라마의 출현, 그리고 이를 받아들이도록 만든 사회풍토라고 본다. 케케묵고 인기 없는 말을 해볼까? 의식구조를 바꾸는 새마을운동이라도 벌여야하나?

<이영묵 버지니아>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