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범들이 호시절을 만난 듯하다. 너나 할 것 없이 어려운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수많은 종류의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하루가 멀다 하고 사기 관련 보도가 쏟아지고, 관련 사법당국은 연일 주의보를 내리고 있다.
돈이 오가는 곳에는 반드시 사기가 끼어든다. 연방정부와 지역정부가 전방위로 지원금을 쏟아 붓고, 기록적인 숫자가 실업수당을 신청하고, 집에 갇힌 사람들의 온라인 샤핑이 급증하면서 각종 사기와 해킹이 들끓는 것이다.
정부 지원금(스티뮬러스 체크)을 빨리 받게 해준다며 개인정보와 수수료를 요구하고, 지원금이 과다 지급됐다며 차액 환불을 요구하기도 한다. 또 신분 도용으로 실업수당을 가로채는 사기가 미전역에서 기승을 부리는가 하면 최근에는 패키지 배달을 빙자한 스마트폰 해킹까지 등장하는 등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잠시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코비드-19와 직접 관련된 사기 케이스도 끊이지 않고 있다. 감염조사를 사칭하거나 무료 항체검사 제공을 빌미로 개인정보를 요구하기도 하고, 검증되지 않은 치료제를 판매한다면서 텍스트 메시지와 이메일을 통해 개인의 소셜시큐리티 번호, 재정과 신분 상태 등 민감한 정보들을 요구하고 있다.
가장 많은 것이 온라인 사기다. 연방수사국(FBI)은 올해 인터넷범죄센터에 접수된 신고 건수가 5월까지 32만여건으로, 작년 한해 총 건수인 40만여 건에 근접했다고 밝혔다. 온라인 샤핑이 치솟았던 4월과 5월 두달 동안 연방거래위원회(FTC)에 접수된 소비자 불만 신고는 3만4,000여건, 연말 대목인 12월 신고 건수의 두배에 달한다. 가장 많은 신고 내용은 주문한 상품을 받지 못한 경우로, 마스크와 소독제 등 위생용품을 구매한 사람들의 피해가 컸다.
요즘처럼 불안한 상황에서는 누구나 사기 피해자가 될 수 있다. 당하지 않으려면 도처에 사기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경각심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조금이라도 이상한 점이 있을 때는 확인하고, 수상한 링크를 누르지 말고, 소셜시큐리티 번호와 같은 민감한 정보는 절대 주지 말아야 한다. 언제나 뭐든지 누구든지 의심하고, 확인하고, 신고한다는 정신으로 침착하게 대처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