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실업대란’ 수당신청 300만명 폭증

2020-03-27 (금) 01:16:45 한형석 기자
크게 작게

▶ 코로나 확산에 해고 봇물 1주새 12배…사상 최고치

▶ 가주는 100만건 넘어서

‘실업대란’ 수당신청 300만명 폭증

코로나19 비상사태가 지속되면서 미국에 실업대란이 벌어지고 있다. 라스베가스의 원스탑 구직센터 앞에 일자리를 구하려는 실직자들이 몰려들어 길게 줄을 늘어서 있다. [AP]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최악의 ‘실업 대란’이 현실화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비상에 직격탄을 맞은 경제 상황 속에 일시적인 해고가 잇따른 결과로, 코로나19가 의료·보건 체계에 대한 위협을 넘어 일자리까지 무너뜨리면서 실물경제 붕괴로까지 이어질 지 모른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방 노동부는 3월 셋째 주(15~21일) 실업수당 신청 건수가 무려 328만3,000건으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둘째 주(8~14일)의 28만2,000건과 비교하면 무려 12배 가까이 불어나면서, 100만~200만건에 달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상을 2배가량 웃돌았다. 코로나19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사실상의 첫 지표다.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하기 이전에는 매주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0만건 안팎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코로나19 사태로 일주일새 약 300만 명이 추가로 일자리를 잃었다는 의미다.

이는 노동부가 실업수당 신청을 집계하기 시작한 1967년 이후로 미 역사상 최고치다. 종전 최고기록은 2차 오일쇼크 당시인 1982년 10월의 69만5,000건이었다. 또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도 5배 많은 규모다. 실업수당 신청 건수는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에 65만건까지 늘어난 바 있다.

실업수당 신청이 급증한 것은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다수 주정부들이 ‘자택 대피령’을 내리고 필수적이지 않은 업종의 영업을 사실상 중단시킨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캘리포니아의 경우 실업수당 신청이 100만건을 넘어섰다고 지난 25일 개빈 뉴섬 주지사가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당국의 의무 휴업 지시 등 여파로 3월 셋째 주부터 에너지·여행·운송·호텔·외식업을 중심으로 실직자가 한층 더 빠르게 늘어났다. 특히 식당 종업원이나 매장 점원 등 서민층이 대거 실직한 영향이 컸다. 실제로 넉넉하지 못한 형편인 이들 서민들은 당장 생계를 위협받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

<한형석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