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권자냐” 회신없자 BOA, 계좌 동결 논란
2018-08-01 (수) 12:00:00
석인희 기자
▶ 연방 규정에 따라, 은행들 고객에 질문
▶ 개인정보 수집나서
뱅크 오브 아메리카 등 대형 은행들이 신규 고객은 물론 기존 고객들에게까지 ‘시민권 소지 여부‘를 묻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주요 은행들은 트럼프 행정부 들어 고객들의 체류 신분을 묻고 있는데, 백인 등 이민자가 아닌 미국인들까지 무차별적으로 그 대상이 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고 경제전문지 포천이 보도했다.
캔사스주에 거주하는 조쉬 콜린스는 지난 2000년대 초부터 뱅크 오브 아메리카에서 계좌를 개설해 이용해오고 있는데, 최근 은행으로부터 ‘당신은 시민권자인가 혹은 복수국적자인가’를 묻는 서류를 배송 받았다.
콜린스는 시민권 여부를 확인하는 질문이 담긴 서류를 일종의 스캠(사기)이라고 판단, 서류에 응답하지 않았는데, 그러자 얼마 뒤 콜린스의 계좌가 아무런 예고도 없이 동결돼 사용이 정지됐다는 것이다.
콜린스가 은행 지점을 찾아가 따지자 은행 측은 “통상적인 고객 정보 업데이트 과정에서 벌어진 일로 고객이 답변하지 않아 일시적으로 계좌를 동결한 것”이라고 답하며 다시 해제 조치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뿐만 아니라 웰스파고 은행도 고객이 신규 은행계좌 개설 시 시민권 소지 여부를 질문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포천은 전했다.
연방 규정에 따르면 각 금융기관들은 은행계좌 소지자들에게 ▲이름 ▲생년월일 ▲거주지 주소 ▲소셜시큐리티 번호 등 4가지 정보를 요구하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주요 은행들이 여기에는 포함되지 않은 ‘시민권 소지 여부’까지 추가적으로 묻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 취임 이후 연방 재무부는 각 은행들이 고객들의 해외 돈세탁을 막는다는 명분으로 시민권 및 영주권 소지 여부와 같은 체류신분 정보 수집을 은행 측에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돈세탁 방지를 이유로 내세웠지만 은행들에게 고객들의 신분까지 수집하도록 한 것은 다른 의도가 내포돼 있을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
석인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