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사단 방북 결과 보고, 4월말 정상회담 갖기로

문재인 대통령 / 김정은 위원장
■특사단 남북 합의 요지
▲4월말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남북 정상간 핫라인 설치
▲체제안정 보장시 비핵화 동의
▲비핵화 협의 등 북미 대화 용의
▲대화기간 핵 미사일 도발 중단
▲태권도시범단 예술단 평양 초청
남한과 북한이 4월말 판문점 한국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제3차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앞서 남북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간의 핫라인을 설치해 정상회담 이전에 첫 통화를 하기로 했다.
북한은 비핵화와 북미 관계 정상화를 주제로 미국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또 북한은 남측을 향해 무력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의 대북특별사절단대표단은 김 위원장 등 북한 측과 이런 내용에 합의했다고 수석특사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6일 공식 발표했다.
북한 김정은이 비핵화를 주제로 한 북미대화에 긍정적인 입장을 밝힘에 따라 북미대화가 열릴 가능성이 상당히 커졌으며, 이를 통한 한반도 긴장 완화와 평화 구축에 대한 기대도 한껏 고조되고 있다. 특히 남북정상회담을 조기에 개최키로 합의함으로써 남북관계 개선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2005년 9·19 합의에서 북한이 심지어 ‘검증 가능한 비핵화’를 약속해놓고 불과 1년만에 첫 핵실험을 한 점을 지적하면서 북한의 비핵화에대한 진정성있고 신뢰할만한 접근이 관건” 이라고 말했다.
한편 특사단을 이끌고 방북한 뒤 이날 귀환한 정 실장은 청와대 춘추관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4월 말의 정상회담 장소가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으로 결정된 것에 대해서는 “판문점은 분단의 상징이고 그간 두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이 평양에서 열린 상황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정 실장에 따르면 북한은 특사단 회동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 의지를 분명히 했으며,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해소되고 북한의 체제안전이 보장된다면 핵을 보유할 이유가 없다는 점을 명백히 밝혔다. 또 비핵화 문제 협의 및 북미 관계 정상화를 위해 미국과 허심탄회한 대화를 할 수 있다는 용의를 표명했다.
이와 관련 김정은은 특사단에게 “북미대화 의제로 비핵화도 논의할 수 있다”며 북미대화에 적극적으로 임할 용의가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혔다고 전했다.
한편 정 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은 이런 내용의 방북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조만간 미국을 방문한다. 이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날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