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도 12월 말까지는 접수 완료되어야 하는 주요 대학 정시 입학지원서에못지않게, 어쩌면 더욱 중요한 입학사정항목은 추천서라고 할 수 있다. 학과목별 교사 추천서는 지원자의 개인별 니즈에 따라 사전에 요청하여야 하고, 외부 추천서 역시 지원자의 어떤 특수한배경, 상황, 또는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준비 및 접수되어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입학사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천서는 지원자의 고교를 대표하는 칼리지 카운슬러, 즉 대학입학상담선생님의 추천서라고 할 수 있다.
칼리지 카운슬러는 해당 지원자에대해 같은 고교 또는 자신의 커리어 경험에 비추어 전체적이면서도 구체적인비교 평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제대로작성된 추천서라면 지원자가 쉽게 이룰수 없는 일들을 해 줄 수 있다.
어떻게 그러한 지를 학업적 성과에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학업적 성과고교에서 일률적으로 발급되어 지원대학들 앞으로 전송되는 성적표는 제한된 지면 안에서 지원자의 학업적 능력에 대하여 간편한 수치 정보만을 통해단편적으로 보여줄 뿐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치는 지원자의 모든 것을 보여주기 어렵다는 한계를 대학들이 잘 알고있기 때문에 추천자에게 제시되는 여러 형태의 다양한 질문들을 보면 대학들이 어떤 생각으로 추천서에 대해 접근하는지 엿볼 수 있다.
처음에는 객관식 질문들로 시작해서주관식 질문들로 끝마치는 추천서의 평가 항목들은 결국 추천자의 재량에 의해 지원자의 그림이 그려지고 완성될 수있다는 개연성을 확실히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지원자는 자신이 12학년 가을학기를 거쳐 봄학기까지 지속적으로성적이 향상되고 있다는 ‘학업적 성과’의 성장을 보여주기 위한 방편으로 지원자가 동원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모든 대학에서 우대하고 있는 칼리지 카운슬러가해당 지원자의 성장을 그 추천서에 명시하는 것이다.
다만, 이런 성장을 명시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잘 했다’ 또는‘ 성적이 올랐다’ 또는 ‘성적이 오르고 있다’라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학년을걸치면서 특정 학과목에서 어떻게 지원자가 성장했는지, 그리고 최근에는 어떻게 성장을 계속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는 지원자가 특정 성장 포인트들을 정리해서 칼리지 카운슬러와만나서 설명하고 실질적인 증거들을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외활동 등 학업적 성과에 연계하여 설명될 수 있는 스토리들을 수시(early) 지원 때 입력하지 못했다면 정시(regular) 지원 때 얼마든지 입력할 수있다. 다만 칼리지 카운슬러와의 면담관련, 늦게 찾아가는 것보다는 이런 활용방법을 염두에 두고 미리 미리 사전면담을 통해 도움을 구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할 수 있다.
과거에 어떤 지원자는 사고로 인해병실에 누워 있으면서도 이런 작지만 클수 있는 구체성들을 챙김으로써 칼리지카운슬러가 정작 생각하지 못했던 일들을 상기시켜 주었고, 결국 책임감 있는학생뿐 아니라 진지하고 성심으로 대학입학 지원과정에 참여하는 지원자의 태도를 적극 변호해 주었기 때문에 기대이상의 결과를 얻은 사례도 있었다.
문 의 (617)714-5262
philip@signeteducation.com
<
필립 김/signeteducati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