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그림이 있는 산문] 최정 ㅣ 오늘도 무사히

2015-10-22 (목) 12:00:00
크게 작게
[그림이 있는 산문] 최정 ㅣ 오늘도 무사히
고속도로 진입로에서 였다.

출근 시간이라 차들이 많이밀려 있었다. 진입로 바로 앞에행인들이 건널수 있게 건널목 표시가 되어 있지만 도로 공사를하려는건지 안전 때문에 그러는건지 원래도 무척 옹색했던 건널목에 최근 울타리를 쳐서 더 옹색했다.

내 앞의 차는 그냥 살살 끼어들어도 되는 상황인데 자신이 없는지 고개를 왼쪽 뒤로 꺽고 뒤를 보며 한참을 우물쭈물 하더니갑자기 오른편 길목에서 신호를기다리던 자전거 탄 남자를 확인 하지 않고 그대로 앞으로 나가 자전거 앞바퀴를 쳤다.


남자는 허공에서 한바퀴를 돌고 바닥에 내동댕이 쳐 졌다. 어머, 어머, 저걸 어째. 모든 차들이 움직임을 멈추고 완전 얼었다. 내가내려가 봐야 하는 건가, 망설이는 중에 누가 차를 갓길에 대고나와 사고지점으로 뛰어 간다.

일단 그 정도면 나까지 내릴 필요는 없을 것 같아 나는 그대로고속도로로 들어섰다. 지나치며보니 부딛친 차량을 운전하는 이는 꽤나 나이가 들어 보이고 잔뜩 긴장해 있다. 남의 일 같지않다.

자동차 사고는 눈 깜짝 하는사이에 난다. 분명 뒤에 아무도없었는데 차를 빼는 순간 빵 하고 위세좋은 크랙숀 소리가 울려사람 놀래키고 분명 옆 차선이비었었는데 정작 차선을 바꾸려면 바깥쪽의 차도 딱 시간 맞춰차선을 바꾸며 다가온다. 앞차가 너무 천천히 달려 차선을 바꾸면 멀쩡히 잘 가던 그 차선의차가 기다렸다는듯 천천히 간다.

생전 알지도 못하는 사람끼리 그런 땐 기막히게 한마음이 된다.

지난 수십년 운전을 하며 나도적잖이 남의 차를 박았다. 다행히 사람을 친적은 없었지만 일단사고가 나면 기분 나빠서 얼마간은 운전대를 잡고 싶지도 않다.

사고뿐이 아니다. 젊어서는 티켙도 심심찮게 받았는데 사고도 티켙도 폭우 쏟아지듯 한꺼번 몰아서 오는 것 같다. 스트레스가 함께 가져다 주는 것이었는지. 사고가 나면 종종 남의 탓, 재수 탓을했지만 실은 성급하게 굴때 사고가 난다. 천천히 조심성스럽게 주의를 기울이면 많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수가 있는데 사실 말이 쉽지 바쁘고 급할 때는 일초이초를 기다리기 힘들다.

이제 나이가 들고보니 급할 일이 없고 성질 부릴 일이 적어 남의 차를 들이 박지는 않는다. 그러나 앞으로 나도 점점 더 나이먹어가면서 시야도 좁아지고 순발력도 떨어지게 되면 비록 나는안박는다 해도 겁이나 머뭇거리는 사이에 누가 와서 받기 십상일 터이다.


절대로 늙지 않을 자신이 있는 젊은 이들은 늙은 이들은 운전을 하면 안된다고 소리를 높힌다. 언제 운전대를 놓아야 하는 걸까. 아무튼 노인들이한없이 느린 속도로 꾸물거리며운전하는 모습을 보면 내 앞날의모습을 보는 것 같아 걱정이 안될수 없다.

노인들 사이에선 여전히 차 를소유하고 운전 가능한 할아버지는 킹카로 불린다. 공부 잘하던이, 좋은 직장 잡은 이, 출세하고치부한 이가 근사해 뵈는 시절도그저 한 철인 셈이다. 인류의 역사속에 죽음 이라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퇴장한 사람은 단한명도 없다.

한창때는 운전 하는 게 즐거움일 때도 있었다. 그시절엔 별 볼일이 있지 않아도그냥 하이웨이 280를 하염없이달리기도 했었다. 달리는 자동차안은 가장 완벽한 개인공간이다.

음악을 크게 틀어 놔도, 고래고래 소리를 질러 노래해도, 하염없이 눈물을 흘려도 누구의 시선을의식할 필요없으니. 이 귀한 시간과 공간을 산산히 부숴뜨리는 길위의 잘못된 만남. 그래서 버스운전석위에 ‘오늘도 무사히’ 라는 글이 있었지…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