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들 사이에 비만이 급증하면서 각 주(州)와 시(市) 당국이 각종 입법조치를 통해 `비만과의 전쟁’을 적극 지원하고 나섰다.
미국 외과의사협회가 비만을 `전염병’으로 부를 정도가 되면서 주 의원들이 건강식품 섭취를 장려하고, 비만 유발 요인을 억제하는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
각종 비만 퇴치 아이디어들 중 입법화된 사례는 아직 많지 않다. 그러나 올 들어 각 주정부와 의회는 ▲아동에 대한 운동 장려 ▲지방.당분.콜레스트롤이 많은 레스토랑 음식에 대한 경고 ▲당분이 많은 소다수와 기름진 포테이토 칩의 학교 자판기 판매 금지 등의 입법을 검토하고 있다.
그동안 각 주에서 통과된 비만 관련 법안들을 보면 우선 아칸소주의 6개 학교는 학생들의 체중 대비 신장의 비율인 체질량지수(BMI)를 측정한 `비만 성적표’를 가정에 보내주고 있다. 현재 소아과 의사들은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자판기에서 고칼로리 패스트푸드를 판매하는 것을 금지했고, 뉴욕시는 행정조치로 비슷한 조치를 취했다. 루이지애나주 학교에서는 체육교육을 의무화했고, 아칸소와 미시시피 주에서는 이를 장려키로 했다. 루이지애나주는 또 비만 공무원들의 위(胃) 절제수술 비용을 주정부가 분담하는 방안을 실시할 계획이다.
웨스트 버지니아는 불룩한 위장과 소파에서 TV만 보는 사람의 사진을 보여주면서 “감자칩을 내려놓고 엉덩이를 관리하라”고 조언하는 광고를 내보내고 있고, 휴스턴, 필라델피아, 샌 안토니오에서는 운동 장려 및 식습관 개선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벌이고 있다.
비만 성인의 수가 20년새 2배가 되어 전체 미국 성인 인구의 3분1인 5천900만명에 달하고, 아동 비만자는 세배로 늘어 6명중 1명이 비만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통계는 이같은 조치가 왜 필요한지를 설명해주고 있다.
비만은 당뇨와 심장병, 암 등 각종 질병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기에 체중이 늘면서 건강관리 비용도 늘고 있다. 웨스트 버지니아에서는 주 공무원들의 비만관련 비용이 1995년 이후 3천700만달러에서 7천800만달러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웨스트 버지니아의 공무원 보험기관 복지담당 매니저인 니디아 헨더슨은 “지금 문제를 처리하지 않으면 자라나는 어린이 세대는 나중에 현재 부모 세대보다 생명이 단축될 것이며, 이는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물론 이같은 비만 퇴치 움직임을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레스토랑과 식품산업 옹호그룹인 `소비자 자유센터’의 마이크 뷰리타는 “사람들이 과도한 공포와 흥분 속에 빠져 있다”면서 “정부와 보건단체들에 우리의 식품선택권을 대신 행사해 달라고 요청하는 꼴”이라고 꼬집었다.
여기에 학교 자판기에서 스낵이나 탄산수의 판매를 금지한 텍사스의 조치가 청량음료협회 반발로 뒤집혔고, 80여개의 다른 비만관련 법안들도 심한 반발로 통과되지 못하는 등 `반작용’도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