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없는 경기회복
2002-01-29 (화)
앨런 그린스펀은 지난주 상원 위원회에서 경기 최악의 국면은 지나갔다고 말했다. 아마 그럴지 모른다. 경제가 점진적으로 회복국면으로 돌아섰다고 말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타당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론 수백만명의 직장인들이 다음 봉급수표를 차질 없이 받을 지는 좀더 두고 볼 일이다.
워싱턴의 경제정책연구소가 지난주 발표한 보고서에서 실업자를 흡수하려면 경기가 강력한 반등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12월 실업률은 5.8%로 2000년 10월의 3.9%에 비해 급등했으며 경기가 풀린다 해도 올 가을엔 6.5%에 달할 것이고 내년 평균 실업률은 6%로 예상되고 있다.
대다수 미국인들에게 일자리는 단순히 보다 나은 삶을 위한 방편이 아니다. 자존심의 문제이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선 무숙자로의 전락을 막을 수 있는 방패이기도 하다. 경제학자들이 얘기하는 수치상의 경기침체와 달리, 일반인들은 실업과 경기침체의 연계를 더 중시한다.
실업자가 줄어들거나 반실업 현상으로 인한 소득 감소가 멈출 때 경기가 반등한다고 믿는 게 일반인들이다.
실업률 증가세를 반전시키려면 실업자 흡수를 위해 최소 3%의 경제성장률이 전제돼야 하는데 당분간 이같은 수치는 달성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그러니 침체에서 빠져나왔다는 말에 같이 샴페인 터뜨릴 계제가 아닌 것이다.
게다가 부시 행정부는 감세와 테러와의 전쟁 등에 몰두해 있다. 고용촉진에 대해 정부 재원을 투입하는 일에 상대적으로 등한시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장바구니 경기는 아직 냉랭하다. 특히 빈곤층이 느끼는 체감경기는 당분간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