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의 주요 경쟁사로 꼽히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이 구글의 클라우드 이용을 대규모로 확대한다고 23일 발표했다.
앤스로픽은 "우리는 AI 연구와 제품 개발의 영역을 계속 넓혀감에 따라 최대 100만개의 TPU(텐서 프로세싱 유닛)를 포함해 구글 클라우드 기술 활용을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한다"며 "이번 확대는 수백억달러(수십조원) 규모"라고 밝혔다.
회사 측은 내년(2026년)에 1기가와트(GW)를 훨씬 넘는 용량을 가동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1GW 규모 데이터센터 구축에 드는 비용을 약 500억달러(약 72조원)로 추산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 중 약 350억달러가 칩에 투입된다.
앤스로픽은 현재 30만곳 이상의 기업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간 매출 10만달러 이상 기여하는 대형 고객 수가 지난 1년간 7배 가까이 늘었다면서 구글 클라우드 활용 확대가 "급증하는 고객 수요를 맞추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앤스로픽은 자사의 컴퓨팅 전략이 구글의 TPU와 아마존의 트레이니엄, 엔비디아의 GPU 등 세 가지 칩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다각적인 접근법에 중점을 둔다면서 주요 파트너인 아마존과도 협력 관계를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글의 TPU는 AI·머신러닝 작업에 특화해 구글이 자체 개발한 칩이다.
전날 블룸버그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앤스로픽이 구글과 수백억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거래를 논의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오픈AI 출신 개발자들이 2021년 설립한 앤스로픽은 주요 클라우드 업체인 아마존과 구글 양쪽에서 투자받았으며, 두 회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모두 사용해 왔다.
아마존은 약 80억달러, 구글은 약 30억달러를 앤스로픽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 경제매체 CNBC는 앤스로픽의 이런 다중 클라우드 접근 방식이 최근 아마존의 아마존웹서비스(AWS) 장애 사태 때 탄력성을 입증했다고 짚었다. 앤스로픽의 AI 모델 '클로드'는 아마존의 슈퍼컴퓨터를 이용하지만, 다각화된 구조 덕분에 이번 사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CNBC는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