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틴 ‘신전략무기감축’ 1년연장제안 “꽤 괜찮게 들려…트럼프 추후 언급”
▶ “민주, 급진화돼” 커크 결의안 반대 비판… “정부 셧다운시 오로지 민주당 책임”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로이터]
백악관은 22일 영국과 캐나다, 호주 등 서방국들이 잇달아 팔레스타인의 국가 지위를 인정한 데 대해 "(도널드)트럼프 대통령은 이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점을 매우 명확히 밝혀왔다"고 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힌 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결정들이 현재 가자지구에서의 핵심 목표인 인질 석방에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분쟁 및 전쟁을 끝내는 데에도 아무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솔직히 말해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이 하마스에 대한 보상이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가자지구에서 전쟁을 이어가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하마스가 억류한 이스라엘 인질의 석방이 최우선 과제라고 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서방국들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이런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나아가 2023년 10월 이스라엘 민간인에 대한 테러 공격과 같은 무력을 사용해도 외교적 성과를 얻어낼 수 있다는 잘못된 신호를 하마스에 줄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레빗 대변인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략 핵무기 수를 제한하는 신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뉴스타트)을 1년 연장하자고 미국에 제안한 데 대해선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의 이 제안을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 생각에는 꽤 괜찮게 들리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이 사안에 대해 직접 언급하고 싶어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추후 직접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국가안보회의를 열고 "러시아는 2026년 2월 5일 이후 뉴스타트 조약에 따른 주요 양적 제한을 1년간 계속 고수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또 "이러한 조치는 미국이 유사하게 행동하고 현 핵 억지력의 균형을 악화하거나 방해하는 조치를 자제해야만 지속 가능하다고 믿는다"고 말해 미국도 뉴스타트를 자체 연장할 것을 제안하는 취지로 해석됐다.
레빗 대변인은 청년 보수 활동가 찰리 커크의 암살과 관련, "이번 암살은 미국이 지구상에서 가장 위대한 나라가 되게 만드는 모든 것에 대한 공격이었다. 그러나 그 공격은 완전히 실패했다"며 "암살범은 찰리의 살과 피를 파괴할 수 있었을지 몰라도, 찰리가 전국적으로 대변해 온 가치는 결코 파괴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하원에서 통과된 커크 추모 결의안에 민주당 의원 58명이 반대, 38명이 기권한 것과 관련, "결의안은 정치 폭력을 규탄하기 위한, 인간의 기본적 도리를 담은 단순한 제스처였다"며 민주당을 강하게 비판했다.
또 일부 민주당 하원의원들이 본회의장에서 찰리의 이름을 더럽히는 발언을 했다면서 "민주당이 얼마나 급진화됐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참으로 슬픈 순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화당원, 민주당원, 그 중간에 있는 사람들까지 우리 모두는 단지 자신의 신념을 말한다는 이유만으로 목숨을 잃을까 두려워하지 않아도 되는 나라에 살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레빗 대변인은 급진 좌파들이 주도하는 폭력행위가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한 뒤, 트럼프 대통령이 이르면 이날 오후 반(反)파시즘 운동인 '안티파'를 국내 테러 단체로 지정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의회가 매년 커크를 기리는 국경일을 제정하기를 원하느냐'는 질문에 "대통령이 그런 일에 반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미 의회에서 연방정부 임시 예산안 처리가 무산돼 '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우려가 커진 것과 관련, 정부를 계속 운영하기 위해 삭감이나 인상없이 기존 예산안을 그대로 연장 적용하는 것이 백악관과 공화당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이 트럼프 행정부가 삭감한 메디케이드(저소득층·장애인 대상 의료 서비스) 등 의료 복지 예산 복원을 임시 예산안 처리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한 것이다.
그러면서 "이것(임시 예산안)은 민주당이 6개월 전에 통과시켰던 예산에서 물가상승률만 반영해 조정된 것인데, 불행하게도 민주당은 갑자기 정부 셧다운을 원하고 있다"며 "정부가 셧다운되면 그 책임은 오로지 민주당에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