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트럼프, 英런던서 ‘투자 선물’ 환대…中은 美엔비디아 칩 사용 봉쇄 조치

2025-09-17 (수) 01:41:58 서울경제·글로벌 모닝 브리핑
크게 작게
트럼프, 英런던서 ‘투자 선물’ 환대…中은 美엔비디아 칩 사용 봉쇄 조치

Britain’s Queen Camilla, King Charles, U.S. President Donald Trump and first lady Melania Trump pose for a family photo at the State Banquet during U.S. President Donald Trump’s state visit, at Windsor Castle, in Windsor, Britain, September 17, 2025. REUTERS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영국 국빈 방문에 나섰습니다. 미국 빅테크(거대 기술기업)들이 수백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 선물을 안겼습니다. 영국의 대형 제약 회사들은 대규모 대미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영국 정부는 ‘초특급 예우’를 하며 트럼프 대통령 환심 사기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경제·외교 등 주요 현안에서 양국 간 이견이 적지 않아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지 주목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 도착해 2박 3일간의 국빈 방문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은 첫 번째 임기 중이었던 2019년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입니다. 영국은 전통적으로 미국 대통령을 두 번째 임기에는 국빈 초청하지 않았던 만큼 트럼프 대통령은 영국을 두 번 국빈 방문한 첫 미국 대통령이라는 기록을 세우게 됐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늦게 영국 런던에 있는 미국 대사관저인 윈필드하우스에 도착해 “내일은 아주 중요한 날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영국에 다시 온 소감에 대해 “영국을 사랑한다. 턴베리·애버딘(스코틀랜드 도시들)을 사랑한다. 이곳에는 내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많은 것들이 있다. 정말 특별한 곳”이라고 밝혔습니다.


▲ 트럼프 방중 성사 위해 선물 보따리 잇따라 내놓는 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악화 일로를 걸어온 미중 관계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진행 중인 4차 미중 무역 협상에서 중국이 5년간 끌어온 틱톡 매각을 허용한 데 이어 중국 정부가 보잉 항공기와 미국산 대두 수입을 재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베이징 정상회담 성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중국이 선물 보따리를 연이어 풀어놓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17일(현지 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 협상에서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 성과물로 중국의 미국 상품 구매 협상이 이뤄질 수 있다. 보잉 항공기가 구매 목록에 포함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이 미국 보잉사 항공기 500대를 구매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미국산 대두 수입 재개 가능성도 높게 점쳐집니다. 중국은 무역 갈등이 불거진 후 대두 수입처를 미국에서 브라질로 바꿨습니다.

▲ “中, 엔비디아 최신 AI 칩 차단”…국산화 압박 강화

중국 규제 당국이 자국 기술기업들에 엔비디아의 최신 중국 전용 인공지능(AI) 칩 구매를 전면 금지한 것으로 알려집니다.

17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 인터넷정보판공실(CAC)은 이번 주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등 주요 중국 정보기술(IT) 기업들에 엔비디아의 중국 전용 신형칩 ‘RTX 6000D’의 테스트와 주문을 즉각 중단하라고 통보했습니다. 당초 수만 개 구매 의사를 밝혔던 일부 기업은 CAC 지침 이후 관련 작업을 모두 중단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중국 정부의 이번 조치는 자국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고 엔비디아 의존도를 낮추려는 전략적 판단으로 분석됩니다.

▲ 트럼프, 동맹국 자금으로 우크라 첫 무기 지원 승인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10억 달러(1조 3800억 원) 규모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승인했습니다. 미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맹국 자금을 활용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는 첫 사례입니다. 종전 협상에 소극적으로 나서는 러시아를 압박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최근 엘브리지 콜비 미 국방부 정책차관은 각각 5억 달러(약 6900억 원)인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패키지 두 건을 승인했습니다. 구체적인 지원 품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우크라이나가 요구해온 방공 체계가 포함됐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이는 7월 미국과 나토 동맹국들이 ‘PURL’이라는 무기 조달 시스템을 진행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조치입니다. 우크라이나가 필요한 장비 목록을 제시하면 나토 회원국이 필요한 자금을 미국에 제공하고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비축 무기를 공급하는 구조입니다.

<서울경제·글로벌 모닝 브리핑>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