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구리에 대한 50% 관세가 미래 '전시'(time of war)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는 취지로 언급했다고 폭스비즈니스가 13일 보도했다.
해싯 위원장은 이날 ABC 방송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구리에 50%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을 옹호하고 나섰다.
해싯 위원장은 "결론은 전쟁이 일어날 경우 미국 무기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금속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구리는 많은 미국 무기 세트의 핵심 구성 요소"라고 말했다. 미국이 핵심 자원에 있어서 자급자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해싯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구리가 많지만 생산량은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했으며 50% 관세라는 강력한 조치를 취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미국의 구리 산업을 되살리겠다면서 구리에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어 다음날인 9일 구리 관세가 다음달 1일부터 적용된다고 밝히면서 "구리는 반도체, 항공기, 선박, 탄약, 데이터센터, 리튬 이온 배터리, 레이더 시스템, 미사일 방어 체계, 그리고 심지어 우리가 많이 만들고 있는 극초음속 무기에 필요하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구리 수입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리 관세가 모든 국가에 적용되는지 아니면 일부 국가에만 해당되는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해싯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구리에 50%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미국에서 구리를 재료로 각종 제품을 만드는 기업들의 비용은 증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에 (구리를) 덤핑하는 나라들과 사람들이 이 관세의 대부분을 부담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