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진단 후 1년 내 심방세동 위험 최대 7배 높다
2025-07-01 (화) 12:00:00
변태섭 기자
뇌경색·뇌출혈 등 뇌졸중 발생 이후 1년 내 심방세동 위험이 최대 7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과 숭실대, 고신대복음병원, 서울대병원이 참여한 공동연구진은 2010~2018년 건강검진 이력이 있는 뇌경색 환자 9만8,706명, 뇌출혈 환자 4만7,695명을 일반인과 비교·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진은 비교 정확도를 위해 연령·성별·소득수준·거주지역·흡연·음주·운동·기저질환 등을 고려해 환자군과 대조군을 설정했다.
그 결과, 뇌경색 진단 후 첫해에는 심방세동 발생 위험이 7.32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왔다. 진단 1년 이후에도 심방세동 발생 위험은 1.64배로 여전히 높게 유지됐다.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을 말한다.
뇌출혈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진이 앞서 연구한 다른 논문을 보면, 뇌출혈이 발생한 후 1년 이내 심방세동 발생 위험이 4배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이후에는 심방세동 발병 위험 수준이 대조군과 유사해졌다. 뇌출혈은 뇌혈관 벽이 터지면서 발생한 출혈에 따른 뇌혈관 장애다. 연구진은 이에 대해 뇌졸중 이후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이나 전신 염증 반응으로 심장의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심방세동 발생 위험도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변태섭 기자>